안전, 환경

고소 작업 위험성 평가, 필수 항목과 사고 사례 예시

전기엔지니어 2025. 3. 29. 10:13

고소 작업 위험성 평가, 필수 항목과 사고 사례 예시

 

 

 

1. 고소 작업의 정의


고소 작업이란 일반적으로 지면에서 2m 이상의 높이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이에는 사다리, 발판, 비계, 고소작업대, 로프 접근 등 다양한 방식이 포함됩니다.

 

 


2. 고소 작업의 주요 위험 요인

 

 

 


3. 작업 위험성평가 항목

3.1 작업 조건 및 환경 분석

  - 작업 높이와 위치
  - 발판 및 고소 장비의 구조적 안정성
  - 작업 대상의 무게와 형태
  - 주변 전기설비 여부
  - 기상 조건

3.2 위험 요인 도출
  - 추락 가능성
  - 낙하물 발생 가능성
  - 접근 경로 및 탈출 경로 확보 여부
  - 장비 이상 여부

3.3 위험도 산정
  - 발생 가능성(P: Probability)
  - 위험성의 심각도(S: Severity)
  - 빈도(F: Frequency)

※ 위험도 = P × S × F

3.4 개선 대책 수립
  - 안전대, 안전모, 안전화 등 보호구 착용 의무화
  - 2인 1조 작업 원칙 적용
  - 고소작업대 설치 전 지면 안정성 확인
  - 낙하물 방지망 설치
  - 작업 전 안전교육 및 TBM(Tool Box Meeting) 실시

 

 


4. 실제 사례로 본 고소 작업 사고

 

사례 1: 비계 발판 붕괴로 인한 추락사고
작업자는 비계 상단에서 용접작업 중이었으나, 발판이 부실하게 고정되어 붕괴됨. 안전대 미착용 상태였으며 5m 높이에서 추락하여 중상을 입음.
→ 대책: 발판 고정상태 사전 확인, 추락 방지 조치 철저, 보호구 착용 준수

사례 2: 낙하물로 인한 인명 피해
고소작업자가 드릴을 놓쳐 지상에서 대기 중이던 동료의 헬멧을 가격. 헬멧이 없었다면 중상 가능성이 있었음.
→ 대책: 공구 낙하방지 줄 설치, 지상 접근 통제구역 설정

 

 


5. 마무리

 

고소 작업은 항상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작업입니다. 아무리 짧은 시간의 작업이라도, 위험성평가를 생략하거나 형식적으로 진행하는 순간 사고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장의 모든 작업자는 "고소 작업 = 고위험 작업"임을 인지하고, 사전 점검과 안전 조치를 철저히 시행해야 합니다.

작업자의 생명과 직결된 만큼, 위험성평가와 예방조치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