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 자재, 물류

자재소요량계획(MRP) 이해하기

전기엔지니어 2025. 4. 1. 21:17

자재소요량계획(MRP) 이해하기

 

 

 

1. 자재소요량계획(MRP)이란?
1) 자재소요량계획(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은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모든 자재와 부품의 수량,

  필요 시점, 조달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생산 및 자재 관리 시스템입니다.
2) MRP는 특히 다품종 소량생산, 복잡한 제품구조, 납기 준수가 중요한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MRP의 궁극적인 목적
1) 생산 안정성 확보

  - 필요한 자재가 부족하지 않도록 하여 생산 차질을 방지

2) 재고 비용 절감

  - 필요 이상으로 자재를 보유하지 않도록 하여 재고 관련 비용 최소화

3) 납기 준수

  - 고객의 요구 시점에 맞춰 제품을 납품할 수 있도록 자재를 적시에 확보

4) 운영 효율성 향상

  - 자재 구매, 생산 계획, 입고 일정 등을 통합 관리하여 업무 효율 극대화

 

 


3. MRP의 주요 구성 요소
1) 주생산계획(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
  - 어떤 제품을, 얼마만큼, 언제 생산할지 계획하는 상위 일정
  - 자재소요량계획의 출발점이 되는 정보

2) BOM(Bill of Materials, 자재명세서)
  - 제품을 구성하는 모든 부품, 반제품, 원자재 목록과 수량을 트리 구조로 나타낸 문서
 
3) 재고 정보
  - 현재 보유 중인 자재, 발주 중인 자재, 생산 중 자재 등 재고 상태를 반영하여 중복 발주 방지

4) 조달 리드타임(Lead Time)
  - 자재를 발주한 후 입고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 리드타임이 긴 자재는 조기에 발주 필요

 

 


4. MRP의 작동 방식 (간단한 흐름)
1) MPS 기반 수요 계산
  - 생산할 완제품의 수량과 납기 일자를 기준으로 필요 자재 수요 계산

2) BOM 전개
  - 제품의 구성요소(BOM)를 바탕으로 필요한 자재와 수량 파악

3) 재고 차감
  - 현재 보유 재고와 비교하여 추가로 필요한 수량 계산

4) 납기 역산
  - 자재별 리드타임을 고려해 언제 주문해야 제때 입고되는지 역산

5) 구매/생산 지시 생성
  - 자재 구매 발주 또는 생산 지시서 제안

 

 

 

5. MRP의 한계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