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조류 설비의 검사 방법 정리
탑조류 설비의 검사 방법 정리
1. 탑조류란
1) 탑조류(塔槽類)는 다음과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설비 분류 명칭입니다:
- 증류탑, 흡수탑, 탈기탑 등 탑(Tower, Column)
- 분리드럼, 플래시드럼 등 드럼(Drum)
- 저장탱크, 반응탱크 등 탱크(Tank, Vessel)
2) 이들은 내부에서 화학반응, 분리, 증류, 압력 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조적 건전성과 내부 부식, 마모 등을
정기적으로 검사해야 합니다.
2. 검사 목적
1) 설비 건전성 확인
- 두께 감소, 크랙, 부식 등 이상 유무 파악
2) 운전 안정성 확보
- 공정 중 이상 발생 방지
3) 법적 준수
- 압력용기 등의 경우 법적 정기검사 대상
4) 가동률 향상
- 예방 정비를 통해 돌발 정지 방지
3. 주요 검사 항목

4. 검사 방법
1) 외관 검사 (Visual Test, VT)
- 육안으로 설비의 외부 상태 확인
- 도장 손상, 녹 발생, 기계적 손상, 용접부 외관 이상 등 점검
- 등반 설비 필요 시 고소작업 또는 드론 활용
2) 두께 측정 (Thickness Measurement, UT)
- 초음파 두께측정기를 사용하여 금속 벽두께 측정
- 기준 두께 대비 허용 마모 한계 초과 여부 판단
- 외부측/내부측 또는 지정 포인트 중심 측정
3) 비파괴 검사 (NDT: Non-Destructive Testing)
- 내부 크랙, 결함 등을 검출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 실시
- 주요 방식
→ PT (침투탐상검사): 표면 결함 탐지
→ MT (자분탐상검사): 자성체의 표면 결함 탐지
→ UT (초음파탐상검사): 내부 결함 탐지
→ RT (방사선투과검사): 용접부 내부 결함 확인
4) 내부 검사 (Internal Inspection)
- 정비 시 내부 개방 후 육안 점검
- 내부 트레이, 패킹, 디믹스터, 가이드 튜브 등 손상 유무 확인
- 가스 프리(Gas Free) 후 산소농도 측정 → 입장 허용
5) 기밀 시험 (Hydrostatic or Pneumatic Test)
- 보통 제작 또는 대정비 후 실시
- 물 또는 공기를 주입해 기밀성 확인
- 주의: 고압 시험 시 안전 확보 필요
5. 검사 주기 및 기준
1) 법정 압력용기
-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또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일정 주기로 검사 의무
2) 비법정 용기
- 회사 내규 또는 운전 이력에 따른 예방 정비 차원에서 수행
3) 보통 1~4년 주기로 대정비 시 정밀 검사 실시
6. 검사 전 준비 사항
1) 설비 운전 정지 및 잔류물 제거
2) 질소 퍼지 또는 가스 프리(Gas Free) 후 산소농도 측정
3) 내부 진입 시 작업허가서 및 안전조치 (산소계, 가스계 측정 포함)
4) 내부 구조 및 도면 확인
7. 검사 시 주의 사항
1) 고소작업 시 墜落방지구 착용
2) 밀폐공간 작업 시 산소농도 18~23.5% 확인 필수
3) 비파괴검사 시 방사선 또는 자계 발생 주의
4) 트레이, 패킹 구조물 탈락 방지 및 재조립 확인
5) 검사 후 결과 기록 → 경과보고서 작성 및 이력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