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계장 직무

LEVEL GAUGE COVER(지시창) 재질 비교: 플라스틱 vs 알루미늄

전기엔지니어 2025. 4. 11. 21:17

LEVEL GAUGE COVER(지시창) 재질 비교: 플라스틱 vs 알루미늄

 

 

 

 

 

 

1. LEVEL GAUGE COVER의 구성 개요
- LEVEL GAUGE는 탱크 내 액면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계기로,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COVER(지시창, 윈도우) 재질 선택이 중요함
- COVER는 내부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면서도, 장기적인 시야 확보와 내환경성을 만족시켜야 함
- 일반적으로 COVER는 플라스틱, 유리, 알루미늄+투명창의 구조로 제작되며, 설치 장소나 운전 조건에 따라 

  적절한 재질을 선택함

 

 


2. 플라스틱 COVER의 특징과 한계
- 플라스틱은 아크릴(Acryli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이 대표적인 재질로 사용되며,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음
- 하지만 장기 사용 시 자외선(UV), 고온, 화학물질 등에 노출되면 황변(변색) 현상이 발생하고,

  외부 충격, 나사 조임 시 장력 등에 의한 균열 또는 미세한 크랙이 발생할 수 있음
- 또한 내스크래치성이 약해 표면이 흐려지면서 시야 확보에 장애가 발생함
- 특히 야외 설치, 고온 또는 화학 공정 주변에서는 변색과 손상 문제가 자주 발생하며, 장기 신뢰성 확보가 어려움

 

 


3. 알루미늄 COVER(하우징) 사용 이유
- 알루미늄은 자체적으로 투명하지 않으므로 지시창(Window)은 별도로 강화 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본체 외곽 하우징을 알루미늄으로 구성함
- 알루미늄은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음
  → 내식성 우수: 알루마이트 처리(양극 산화처리)를 통해 부식 저항 향상 가능
  → 열 안정성 우수: 고온 환경에서도 물성 유지
  → 기계적 강도 확보: 적정 두께와 구조 설계 시 내충격성 확보 가능
  → 장기 내환경성 우수: 실외 설치, 고온, 화학약품 노출 조건에서도 장기 사용 가능
- 알루미늄은 황변이 없고 변형이 적으며, 외관도 미려하여 산업용 설비에서 신뢰성 높은 구조체로 사용됨

 

 


4. 결론
- LEVEL GAUGE COVER에 플라스틱을 사용할 경우 초기에는 가볍고 투명성이 높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외선, 열, 화학물질에 의해 황변, 흐림, 균열 문제가 발생함

 

- 이에 따라 장기 내구성, 외관 안정성, 환경 내성을 고려할 때, 알루미늄 하우징을 사용하고 지시창은 강화 유리 또는 

  고급 투명 플라스틱으로 조합한 설계가 일반적으로 채택됨

 

- 특히 야외 배관, 고온 배관, 화학 설비 근처 등에서는 플라스틱보다 알루미늄 적용이 훨씬 유리하며, 

실사용 현장에서도 이러한 선택이 오작동 방지 및 유지보수 효율 향상에 기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