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 검사 (자기/자분검사): 자성을 활용한 표면 결함 검출 방법
1. MT (자기/자분검사, Magnetic Particle Testing)의 정의
1) 자속의 변화가 결함 부위에서 굴곡을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입니다.
2) 이 방법은 자성을 가진 물질에서 자분을 사용해 결함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표면과 표면 가까이에
위치한 결함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습니다.
2. 검사의 원리
1) MT 검사에서는 검사 대상 재질에 자성을 부여한 후, 자분 또는 철분을 이용해 결함을 찾아냅니다.
2) 자성화된 표면에 결함이 있으면, 자속이 굴곡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분이 결함 부위에 모여서
눈에 띄게 됩니다.
3) 자분이 결함 위치에 집중되면서 결함의 형태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3. 적용 가능한 결함
1) MT 검사는 표면 결함과 표면 근처 결함을 검출하는 데 유효합니다.
2) 이 방법은 특히 용접부, 주조 부품, 기계적 결함이 있는 부위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균열이나
크랙을 식별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4. 검사 한계
1) MT 검사법은 비자성 재료에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비자성 재료는 자성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검사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표면 깊은 곳에 있는 결함은 검출할 수 없으며, 검사 대상의 자성을 부여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검사가 불가능합니다.
5. 장점과 단점
1) 장점
- 빠르고 효율적인 검사가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표면 결함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용접부, 기계 부품, 주조 제품 등에서 중요한 검사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2) 단점
- 비자성 재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깊은 결함은 검출할 수 없습니다.
- 자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재료에 한정되어 있어 검사 범위에 제약이 있습니다.
6. 결론
MT 검사법은 자성을 활용한 비파괴 검사 기법으로, 표면에 가까운 결함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비자성 재료와 표면 깊은 곳의 결함을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제한점을 고려하여 다른 검사 방법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기계, 장치, 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식(Corrosion) 의 종류와 발생 원인, 효과적인 방지 대책 (0) | 2025.01.31 |
---|---|
기밀시험 기준과 수행 시 주의사항 총정리 (0) | 2025.01.31 |
PT 침투 검사 원리와 적용: 크랙 및 핀홀을 찾아라 (1) | 2025.01.30 |
MILL CERTIFICATE란? 철강 제품 품질 보증서의 모든 것 (0) | 2025.01.30 |
캐비테이션의 정의와 발생 원인 그리고 예방 (2)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