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철강의 모든 것: 강(Steel)과 강괴(Steel Ingot)의 차이점과 제조 과정 :: 전기, 계장 엔지니어

철강의 모든 것: 강(Steel)과 강괴(Steel Ingot)의 차이점과 제조 과정

 

1. 개요

이 문서는 철강의 개념과 종류를 정리하고, 강(Steel)과 강괴(Steel Ingot)의 차이를 비교합니다. 또한 강괴가 제조되는 과정과 강괴의 종류를 설명하며, 최종적으로 강괴의 활용 및 철강 산업의 발전 방향을 다룹니다.

먼저, 철강은 철(Fe)과 탄소(C)의 합금으로, 탄소 함량에 따라 순철, , 주철로 구분됩니다. 강은 최종 금속 재료로서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며, 강괴는 이러한 강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 제품으로 사용됩니다.

강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강의 용해, 탈산, 조괴, 응고, 재가열 및 가공 단계를 거칩니다. 

이후 강괴는 탈산 정도에 따라 완전 탈산강(Killed Steel), 반 탈산강(Semi-Killed Steel), 림드강(Rimmed Steel)으로 분류되며, 각 강괴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2. 강과 강괴(Steel vs. Steel Ingot)

2.1 강(Steel)
강은 철(Fe)과 탄소(C)를 포함한 합금으로, 다양한 기계적 성질을 조절할 수 있도록 주조, 열처리, 가공 등을 거친 최종 금속 재료입니다. 탄소 함량과 합금 원소의 조합에 따라 강의 특성이 달라지며, 구조물, 자동차, 배관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됩니다.

2.2 강괴(Steel Ingot)
강괴는 용광로나 전기로에서 용융된 강을 금형에 부어 응고시킨 덩어리 형태의 중간 제품입니다. 강괴는 다시 가열 후 **압연(rolling)**이나 단조(forging) 등의 공정을 거쳐 강재(강판, 봉강, 형강 등)로 변형됩니다.



3. 강에서 강괴로 가공하는 과정
강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3.1 강 용해(Melting)
  - 용광로나 전기로에서 철광석을 녹여 용융된 강을 얻음.
  - 합금 원소 및 불순물을 조절하여 원하는 성질을 갖도록 조정함.

3.2 탈산(Deoxidation)
  - 강 내에 포함된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탈산제를 첨가함.
  - Fe-Mn, Fe-Si, Al 등의 탈산제가 사용됨.

3.3 조괴(Ingot Casting)
  - 탈산이 완료된 용융 금속을 주형에 부어 응고시킴.
  - 강괴의 품질을 조절하기 위해 주형의 형태 및 주입 방식이 결정됨.

3.4 강괴 응고(Solidification)
  - 강괴가 서서히 응고하면서 내부 미세조직이 형성됨.
  - 균질한 조직을 형성하기 위해 온도 조절이 중요함.

3.5 재가열 및 가공(Reheating & Processing)
  - 강괴를 압연 또는 단조를 통해 원하는 형태의 강재로 변환함.
  - 압연 시 강판, 봉강, 형강 등 다양한 제품으로 가공됨.

 

 


4. 강괴의 종류
강괴는 탈산의 정도와 응고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4.1 완전 탈산강 (Killed Steel)
  - Fe-Mn, Fe-Si, Al 등을 이용하여 철강 내 산소를 완전히 제거한 강괴.
  - 조괴법: Hot Top을 가진 상부 확대형 주형에서 주입하여 제조됨.
  - 균질한 조직을 가지며 구조용 및 고품질 강재로 사용됨.
  - 현장 활용: 용접성이 우수하여 용접 구조물, 압력 용기, 고강도 부품 등에 사용됨.

4.2 반 탈산강 (Semi-Killed Steel)
  - 완전 탈산강과 림드강(Rimmed Steel)의 중간 정도의 탈산 수준을 가짐.
  - Fe-Mn, Fe-Si로 부분적으로 탈산한 강괴.
  - 조괴법: 하부 확대형 주형에서 주입하여 제조됨.
  - 탄소 함유량이 0.15~0.3% 정도로 일반 구조용강, 강판, 원강의 재료로 활용됨.
  - 현장 활용: 건축 구조물, 선박, 철도 차량 등에 사용되며 적절한 강도와 가공성을 가짐.

4.3 림드강 (Rimmed Steel)
  - 탈산이 불완전하여 산소와 가스가 일부 포함된 상태.
  - Fe-Mn을 이용하여 탈산하며, 하부 확대형 주형의 아래에서 주입하여 제조됨.
  - 불완전한 탈산으로 인해 용강이 비등 작용을 일으켜 응고 후 기포가 발생함.
  - 주형 외벽 부분에 상대적으로 깨끗한 림(Rim)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음.
  - 현장 활용: 연성이 뛰어나 냉간 압연 제품(얇은 철판, 자동차 외장용 강판 등)에 사용됨.

 

 


5. 강괴의 활용 및 발전 방향

강괴는 다양한 산업에서 최종 강재로 가공되어 사용됩니다. 최근 철강 산업은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생산 공정을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탈탄소화를 위한 전기로 및 수소 기반 제강 기술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향후 강괴의 품질 향상과 제조 공정의 최적화가 철강 산업의 중요한 연구 분야가 될 것입니다.

 

 


6. 용어 정리
  - 합금: 두 가지 이상의 금속 원소를 혼합하여 만든 물질.
  - 압연: 금속을 회전하는 롤 사이로 통과시켜 원하는 두께와 형상으로 만드는 공정.
  - 단조: 금속을 해머나 프레스 등을 이용해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하는 공정.
  - 탈산: 용융된 강에서 산소를 제거하는 공정.
  - 탈산제: 강에서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Fe-Mn, Fe-Si, Al 등).
  - 주형: 금속을 부어 응고시키는 틀.
  - Hot Top: 강괴를 제조할 때 상부에 형성되는 불순물 제거용 구조.
  - 조괴법: 용융된 금속을 주형에 부어 강괴를 제조하는 방법.
  - Rim: 림드강에서 주형 외곽 부분에 형성되는 깨끗한 철층.

 

https://engineer125.tistory.com/212

 

철강의 종류와 특성: 순철, 강, 주철 완벽 정리

철강의 종류와 특성: 순철, 강, 주철 완벽 정리1. 개요 철강은 주로 철(Fe)과 탄소(C)의 합금으로, 탄소 함량에 따라 순철(Pure Iron), 강(Steel), 주철(Cast Iron)로 분류됩니다. 탄소 함량이 증가할수록 강

engineer125.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