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API, ASME, ASTM, KS, JIS, UNS, DN의 유래와 기준(사용 국가) :: 전기, 계장 엔지니어

API, ASME, ASTM, KS, JIS, UNS, DN의 유래와 기준(사용 국가)

 

 

 

 

 

1. API STANDARD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1) 유래 및 역사
API는 1919년 미국 석유산업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여러 석유회사들이 장비와 설비에 대한 서로 다른 설계 및 제작 방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 및 품질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정되었습니다. 당시 석유 시추, 정제, 저장 및 운송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계와 설비에 대한 일관된 기준이 없었기 때문에, 각 회사들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방식은 국제 경쟁력과 신뢰성 확보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 미국 내 석유업계는 표준화된 규격을 마련함으로써 공통의 안전 및 품질 기준을 확립하고, 기술 혁신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PI Standard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2) 기준 국가: 미국

 

3) 대표 코드 예시
  - API 610: 원심 펌프 설계 및 제조 기준
  - API 650: 용접 석유 저장탱크 규격

 

 

 



2. ASME COD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1) 유래 및 역사
ASME 코드는 1880년대 후반 미국의 산업혁명과 함께 기계 및 압력용기 안전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급격한 산업화와 함께 보일러, 압력용기, 펌프 등 다양한 기계 설비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로 인해 발생한 사고들을 예방하고, 기계 설비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기계공학회(ASME)는 통일된 설계, 제작, 검사 기준을 마련하였습니다. 초기에는 단순한 규격이었으나, 기술 발전과 재료공학, 용접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복잡하고 정교한 규격 체계로 발전하였습니다.

2) 기준 국가: 미국

 

3) 대표 코드 예시
  - ASME BPVC Section VIII: 압력용기의 설계 및 제작 기준
    (또한 ASME BPVC Section I, II 등 보일러 및 기계 부문 전반의 다양한 세부 규격 포함)

 

 

 

 


3. UNS (Unified Numbering System)

 

1) 유래 및 역사
20세기 중반,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는 금속 및 합금의 분류와 식별에 대해 각각의 독자적인 체계를 사용하던 상황에서 혼선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료 공학자들은 화학 조성과 기계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통일된 번호 체계, 즉 UNS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체계는 다양한 금속 재료의 종류와 등급을 명확하게 규정하여 재료 교체, 품질 보증, 무역 및 기술 교류에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2) 기준 국가: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국제적으로 활용

 

3) 대표 코드 예시
  - UNS S31603: 스테인리스 스틸의 특정 등급을 나타내는 코드
  - UNS 체계는 여러 국가에서 재료의 일관된 식별 기준으로 활용되며, 산업 전반에 걸쳐 재료의 신뢰성 및 호환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4.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1) 유래 및 역사
ASTM은 1898년 미국 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재료의 성능과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일관된 시험 방법과 규격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철강, 콘크리트 등 건설 재료의 시험 규격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그 범위가 확장되어 금속, 플라스틱, 섬유 등 다양한 재료와 제품, 시험 방법을 포함하게 되었습니다. ASTM은 각 분야 전문가와 산업계의 협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표준을 개정 및 보완해 왔으며, 오늘날에는 약 12,000여 개의 규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기준 국가: 미국

 

3) 대표 코드 예시
  - ASTM A36: 구조용 탄소강 재료 및 성능 규격
    (그 외에도 다양한 재료와 시험 방법에 대한 규격들이 존재)

 

 

 

 


5. KS (Korean Standards)

 

1) 유래 및 역사
한국은 전후 복구와 경제 발전 과정에서 외국 기술 도입과 동시에 자체 산업의 기술 자립을 위해 국가 표준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습니다. 1960년대부터 정부와 관련 기관은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증하고, 국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KS(국가기술표준)를 제정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기계, 전기, 건설 분야 등의 기본적인 규격부터 출발하였으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KS 표준은 세분화되고 국제 표준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개정 작업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2) 기준 국가: 대한민국

 

3) 대표 코드 예시 
  - KS D 3504: 구조용 강재에 관한 규격 (예시)
    (그 외 KS B, KS C 등 다양한 분야별 규격들이 존재)

 

 

 

 


6. JIS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1) 유래 및 역사
일본은 20세기 초 서구의 기술을 적극 수용하면서, 국가 전체의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인 표준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습니다. 정부와 산업계는 각종 제품과 설비에 대한 일관된 기술 규격을 마련함으로써 일본의 기술력을 체계화하였고, 그 결과 JIS(일본산업규격)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초기에는 기계와 전기, 금속 재료 분야에서 시작되었으나, 점차 자동차, 전자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대되었습니다.

2) 기준 국가: 일본

 

3) 대표 코드 예시
  - JIS G 3101: 일반 구조용 강재의 규격
    (기계, 전기, 화학 등 다양한 분야의 세부 규격이 포함됨)

 

 

 

 


7. DIN (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

 

1) 유래 및 역사
DIN은 1917년 독일의 산업계와 정부가 협력하여 기술적 표준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19세기 말부터 독일은 정밀 기계, 자동차 및 공업 제품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게 되었는데, 이와 함께 제품의 일관된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습니다. DIN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산업 전반에 걸쳐 세밀한 기술 규격을 마련하였으며, 독일 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에서 신뢰받는 기준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2) 기준 국가: 독일 (유럽 전반에서도 많이 활용)

 

3) 대표 코드 예시
  - DIN EN 10204: 금속제품의 검사 및 시험 문서 규격
    (기계 부품, 전자,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코드가 다수 존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