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화기작업 전 필수 안전 체크리스트 (안전조치사항) :: 전기, 계장 엔지니어

화기작업 전 필수 안전 체크리스트 (안전조치사항)

 

 

 

1. 사전 준비 및 위험 평가

 

1) 위험 평가 및 작업 허가
  - 작업 전, 작업환경 및 주변 인화성·가연성, 독성물질의 상태를 철저히 점검합니다.
  - 위험 평가를 실시한 후 작업 허가서를 발행하여 정해진 절차에 따라 작업을 진행합니다.

 

2) 가연성·독성물질 가스농도 측정
작업 전, 작업 중, 그리고 작업 일시 중지 후(예: 점심시간, 휴게시간 후) 재개 시 가스농도를 측정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합니다.

 

 

 

 


2. 작업구역 및 출입 통제

 

1) 작업구역 설정
  - 화염 또는 스파크 등이 인근 공정 설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작업 반경(일반적으로 20m 이내) 내 지역은

    명확하게 작업구역으로 설정하고, 표지판을 부착합니다.
  - 산소 절단 작업의 경우 불꽃 비산 거리가 약 10m 정도 예상되므로, 이 범위 내의 통행 및 출입을 제한합니다.

 

2) 차량 및 기타 장비 출입 제한
  - 작업구역 내 차량 및 불필요한 장비의 출입을 제한하여 불의의 사고를 방지합니다.

 

3) 벨브 차단 및 표지 부착
  - 작업 전 관련 장비의 벨브를 차단하고, 안전표지 등을 부착하여 작업 중 불의 확산을 막습니다.

 

 

 

 


3. 화재 예방 및 비상 대응

 

1) 인화성 물질의 제거 및 보호
  - 작업 구역 내·외부의 인화성 물질은 사전에 제거하거나, 안전하게 보관하여 화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 독성물질의 방출 및 처리는 별도의 안전 절차에 따라 수행합니다.

 

2) 소화기 및 화재 예방 장비 구비
  - 적절한 종류와 용량의 소화기를 작업장 근처에 배치하고, 화재 경보기, 스프링클러 등 예방 시스템을 점검합니다.

 

3) 화재 감시 및 비상 대응 체계
  - 작업 중에는 전담 화재 감시자를 배치하여 불꽃이나 스파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비상 시 대피 경로와 응급 연락체계를 사전에 마련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개인 보호장비 및 교육

 

1) 보호구 착용
  - 작업자들은 방화복, 방열장갑, 안전안경, 안전모 등 적절한 개인 보호장비(PPE)를 반드시 착용합니다.
  - 필요시 방독면, 안전화 등 추가 보호장비를 준비합니다.

 

2) 정기 교육 및 훈련
  - 화기작업 안전 교육과 모의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작업자들이 응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소화기 사용법 및 비상 대응 절차에 대해 숙지시킵니다.

 

 

 

 


5. 작업 후 안전 확인

 

1) 잔불 및 잔열 확인
  - 작업 종료 후 일정 시간 동안 잔불이나 잔열이 남아 있지 않은지 철저히 확인하여 재발 화재를 방지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