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TEST란? 육안시험의 정의에서 실무 활용까지
1. 정의
1) 사람의 눈 또는 확대경, 내시경, 드론, 카메라 등 보조 장비를 활용하여 재료, 용접부, 설비 표면 등에 발생한 결함이나
이상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2) 비파괴검사(NDT)의 한 종류이며, 가장 간단하면서도 선별적 1차 검사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목적
1) 결함 조기 발견
- 용접 크랙, 산화, 부식, 기공, 슬래그 등 표면 결함을 조기에 식별
2) 공정 품질 확보
- 용접 및 제작 후 검사 또는 유지보수 후 상태 확인
3) 안전 확보
- 결함이 구조적 문제로 발전하기 전에 예방적 조치 가능
4) 법적/내부 기준 충족
- 규정된 검사 항목에 따라 육안점검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음
3. 적용 대상
1) 용접부(선행 검사, 최종 검사 포함)
2) 압력용기, 배관, 열교환기, 탑조류 등 금속 설비
3) 구조물 용접 시공 현장
4) 코팅, 도장 품질 확인
5) 설비 외관 점검 (부식, 녹, 변형 등)
4. 검사 항목

5. 검사 도구 및 장비
1) 육안 (비교 기준이 있는 경우 표준 샘플 병행)
2) 확대경, 현미경 (2배~10배)
3) 내시경 (Borescope, Videoscope)
4) 조명 장비 (LED 라이트, 후레쉬 등)
5) 거울, 드론, 카메라 (고소, 밀폐공간, 협소부위 관찰용)
6) 청진봉, 표면 청소 도구 (먼지 제거 후 관찰)
6. 장점
1) 가장 간단하고 빠르게 적용 가능
2) 비용이 적게 들며 실시간 판단 가능
3) 넓은 범위를 빠르게 검사 가능
4) 장비 의존도가 낮아 접근성 좋음
5) 작업 전·후, 공정 중 지속적인 모니터링 가능
7. 한계점
1) 숙련도에 따라 검사 정확도가 좌우됨
2) 표면 결함만 확인 가능, 내부 결함은 확인 불가
3)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미세 결함은 놓치기 쉬움
4) 빛, 먼지, 작업 환경의 영향을 받음
5) 정량적 측정보다는 정성적 판단에 가까움
8. 실무에서의 유의사항
1) 표면 청결 상태 확보 후 검사 진행 (녹, 이물질 제거)
2) 표준 시편 또는 결함 사진과 비교하여 판단 정확도 향상
3) 조도(조명 밝기) 확보 필수 (일반적으로 500~1000 lux 이상 권장)
4) 기록 필수: 결함 위치, 사진, 판단 결과 등 보고서 작성
5) 용접부 검사 시 KS, ASME, AWS 기준 등 해당 코드를 반드시 참조
'기계, 장치, 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성가공(Plastic Working이란 무엇인가: 금속을 녹이지 않고 형상만 바꾸는 기술 (0) | 2025.04.09 |
---|---|
Eddy Current Testing(와전류검사), 실무에 필요한 내용 정리 (0) | 2025.04.03 |
열교환기 유지보수 필수 정보: 정비 전 준비사항과 주의점 (0) | 2025.04.02 |
탑조류 설비의 검사 방법 정리 (0) | 2025.04.02 |
설계자와 구매자가 꼭 알아야 할 ASTM, ASME 차이점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