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 FRP, PTFE LINED 배관 재질 완전 정리
■ PP, FRP, PTFE LINED 재질 정리
1. PP (Polypropylene)
1) 특징
- 가볍고 내식성 좋음 (특히 염기성에 강함), 최대 100℃ 이하
2) 사용 형태
- 단독 배관 (전부 PP)
- Carbon Steel + PP Lined (강관 내면에 PP 코팅)
3) 적용 대상
- 저온·저압·약부식 유체 (NaOH, 순수, 폐수 등)
2. 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1) 특징
- 고강도, 경량, 우수한 내식성. 구조체나 외피용으로 활용
2) 사용 형태
- 단독 사용 (전부 FRP)
- Carbon Steel + FRP Lined (강관 내면에 FRP 도포)
- FRP + 내부 PP/PVC/PTFE Lining
3) 적용 대상
- 염산·황산 등 산성 유체, Scrubber, 배기덕트, 폐수 설비
3. PTFE LINED (Teflon)
1) 특징
- 내화학성 최강, 고온(150~200℃ 이상)에서도 사용 가능
2) 사용 형태
- Carbon Steel + PTFE Lined
- Stainless Steel + PTFE Lined (고순도 공정용)
- FRP + PTFE Lined
3) 적용 대상
- 고농도 황산, 불산, 염소, 유기용제 등 고부식/고온 유체
■ 재질별 조합 요약표
■ 왜 외부를 Carbon Steel로?
- FRP, PP, PTFE는 강도·압력 저항이 낮음
- 그래서 구조적 강도는 외부 Carbon Steel로 확보하고, 내부는 부식 방지를 위해 내식성 재질로 라이닝
■ 주요 사용처 예시
'기계, 장치, 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VC란 무엇인가? PVC와의 차이점 및 주요 용도 (0) | 2025.04.15 |
---|---|
내화 페인트(Fireproof Paint)의 개요와 중요성 (0) | 2025.04.15 |
Steam Trap 종류별 특징과 내구성 비교 (0) | 2025.04.14 |
소성가공(Plastic Working이란 무엇인가: 금속을 녹이지 않고 형상만 바꾸는 기술 (0) | 2025.04.09 |
Eddy Current Testing(와전류검사), 실무에 필요한 내용 정리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