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ve 신규 설치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8가지
1. 운반 및 설치 장비 접근성 확보
* 대형 Valve의 경우 자체 중량이 수백 kg에 이르며, 크레인이나 지게차를 통한 인양이 필요함
* 따라서 크레인이 접근 가능한 동선 확보가 중요하며, 상부 구조물 간섭 여부, 도로 강도, 인양 반경 등을 사전에 확인해야 함
* 실내 설치 시 천장 빔, 배관 트레이, 조명, 환기구 등 인양 방해 요소가 있는지 검토 필요
2. 설치 공간 내 수직/수평 간섭 확인
* Valve 설치 시 상하 방향으로 플랜지 체결, 액추에이터 고정 등 수직 공간 확보가 필요함
* Valve 상단에 장애물(기존 배관, 케이블 트레이 등)이 있으면 설치가 불가능할 수 있음
* Valve의 개폐 작동 시 스템이 상승하는 구조(예: 게이트 밸브)의 경우 작동 범위 전체에 대한 공간 확보가 필요함
3. 주변 배관 및 구조물과의 간섭 확인
* Valve 본체 외에도 Positioner, Limit Switch, Solenoid Valve 등 Accessories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이들 부품이 주변 배관, 프레임, 전선관 등과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수 있음
* 특히 Actuator의 방향 설정, Accessories의 위치 선정은 설계 단계에서 사전 검토가 필요함
4. 유지보수 공간 고려
* Valve를 설치한 후, 점검구 개방, 부품 교체, 배선 점검 등이 가능해야 하므로 점검 공간 확보가 필수임
* 특히 전동식 또는 공압식 액추에이터의 경우, 커넥터 및 제어선 접근이 용이한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토크 세팅, 수동 개폐 조작을 위한 작업 공간도 고려해야 함
5. 플랜지 정렬 및 응력 방지
* Valve 설치 전, 배관의 플랜지 정렬 상태를 확인해야 하며, 무리하게 정렬 시도 시 Valve Body에 응력이 발생할 수 있음
* 응력은 내부 Seat 손상, 누설, 작동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렬 불량은 배관 공사 단계에서 바로잡아야 함
6. 설치 방향 및 유량 방향 확인
* 대부분의 Valve는 Flow Direction이 지정되어 있으며, 설치 시 이에 맞게 설치되어야 함
* Y-Type 또는 Check Valve의 경우, 흐름 방향이 반대일 경우 성능 저하 또는 작동 불능 발생 가능
7. 배관 지지 상태 점검
* Valve 설치 위치 주변 배관이 과도하게 처지거나 흔들릴 경우, Valve에 하중이 집중되어 누설이나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특히 대형 Valve는 자체 중량에 의한 배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Pipe Support가 필요할 수 있음
8. 동결, 침수, 화재 등 외부환경 고려
* Valve 설치 위치가 실외 또는 극한 조건(고온, 저온, 습기)에 노출될 경우, 히터, 방수 커버, 방열판 등 보조장비 설치가 필요함
* 주변 설비와의 화재 방호구간, 배수계획, 차폐구조 등도 점검 대상임
'전기, 계장 직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케이블 손실 종류 6가지에 대한 원리와 특징 정리 (0) | 2025.08.08 |
---|---|
전기설비 절연열화 측정법 6가지 정리 (0) | 2025.08.08 |
속도제어를 위한 INVERTER 적용 사례 분석 (0) | 2025.06.19 |
GCB 절연가스, SF6의 장점 및 단점 (0) | 2025.06.18 |
전기PANEL 내부 온도 관리, 왜 COOLING FAN이 중요한가 (0)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