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환경

화기 작업이란? 대표 사례 5가지와 사고 예방 방법

전기엔지니어 2025. 3. 28. 21:27

화기 작업이란? 대표 사례 5가지와 사고 예방 방법

 

 

 

1. 용접 작업 (Welding Work)

 

1) 용접 작업은 산업 현장에서 가장 대표적인 화기 작업 중 하나로, 두 개 이상의 금속을 고온으로 녹여 접합하는

  기술입니다. 다양한 방식의 용접이 있으며, 아크용접(SMAW), 가스용접(Oxy-Fuel Welding), CO₂ 용접(MAG),

  TIG 용접 등이 있습니다. 이들 모두는 강력한 열원과 불꽃을 발생시키며, 화재 및 폭발 사고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용접 중에는 불꽃, 고열, 금속이 녹으면서 튀는 스패터(splatter) 등이 주변 가연성 물질에 착화될 수 있으며,

  밀폐공간에서는 가스 누출에 의한 폭발 위험도 존재합니다. 또한, 작업 중 발생하는 자외선, 적외선, 유해가스 등은

  작업자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용접 작업의 안전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 작업 전 작업허가서 발급 및 위험성 평가
  - 주변 가연성 자재 제거 또는 불연성 차폐물 설치
  - 소화기, 소화포, 방화포 비치
  - 숙련된 감시자 배치 및 불꽃 감시자의 지속적인 관찰
  - 작업 후 화기 잔존 여부 확인

 

 


2. 절단 작업 (Cutting Work)

 

1) 절단 작업은 일반적으로 금속 자재를 자르기 위한 작업으로, 가스 절단(Oxy-Acetylene Cutting), 플라즈마 절단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가스 절단은 산소와 아세틸렌을 이용해 약 3,000도 이상의 고온 화염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화재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2) 절단 작업 중에는 불꽃과 고온가스, 스패터, 연기가 발생하며, 고압가스의 누출이나 폭발도 위험 요소로 작용합니다.

  특히 실내 또는 밀폐된 공간에서는 환기가 부족할 경우 산소 농도 변화 및 가연성 가스의 축적으로 인해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절단 작업의 안전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실시합니다:
  - 사용 전 산소 및 연료 가스 용기의 누설 여부 점검
  - 호스, 밸브, 토치 연결 상태 확인 및 노후 여부 점검
  - 절단 장소 주변 인화성 물질 제거
  - 절단 작업자는 가연물과 일정 거리 이상을 유지한 공간에서 작업
  - 불꽃 감시자의 배치 및 연소 잔재 확인

 

 


3. 연삭 작업 (Grinding Work)

 

1) 연삭 작업은 금속 표면을 연마하거나 형상을 다듬기 위한 작업으로, 각종 그라인더(디스크 그라인더, 벤치 그라인더 등)

  를 사용합니다. 외형상 불꽃이 크지 않아 위험성이 낮아 보일 수 있으나, 고속 회전 중 금속에 닿으면 다량의 스파크가

  발생하여 주변의 인화성 물질에 착화될 수 있습니다

2) 특히 작업자 부주의로 그라인더 디스크가 파손되거나 금속 파편이 튈 경우, 심각한 신체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스파크가 천이나 기름에 닿으면 불길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3) 연삭 작업의 안전 확보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방폭구역에서의 연삭 작업 금지
  - 연삭기 커버, 핸들, 전선 등의 이상 여부 사전 점검
  - 작업 전후 방화포 설치 및 스파크 확산 방지 조치
  - 보호구(안면보호구, 장갑, 청력 보호구 등) 착용
  - 작업 중 상시 감시자 배치 및 주변 가연성 물질 관리 철저

 

 


4. 열풍기 사용 작업 (Hot Air Blower Work)

 

1) 열풍기 또는 히팅건을 이용하는 작업은 보통 열수축 튜브 부착, 도장 건조, 실링 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이 장비는 일정 온도의 고온 공기를 지속적으로 방출하므로 표면 온도 자체가 높은 물체와 인화성 물질이 근접하면

  쉽게 착화될 수 있습니다

2) 작업자가 열풍기의 거리나 온도 조절을 잘못하거나 주위 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점화원이 없어

  보이던 곳에서도 불이 붙을 수 있습니다.

  특히 페인트, 접착제, 가연성 플라스틱 등의 가열은 예기치 않은 연소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주요 안전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열풍기 사용 시 온도 조절 기능 점검 및 설정 온도 확인
  - 열풍기 노즐이 가연성 물질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거리 유지
  - 작업 구역의 온도 변화 및 발열 상태를 실시간 측정
  - 사용 후 충분히 냉각되기 전까지 방치 금지
  - 화재 예방 교육 및 사용자의 사전 숙련도 확보

 

 


5. 가열로 작업 (Furnace or Heating Work)

 

1) 가열로 작업은 산업용 전기로, 열처리로, 건조로 등 다양한 형식의 고온 장비를 사용하여 재료를 가열하거나

  용융시키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은 열원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장시간 작동하기 때문에 화재 위험뿐만 아니라 화상,

  폭발, 가스 누출 사고 가능성도 큽니다

2) 가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인근 가연성 물질을 서서히 데우면서 화재 위험을 높이며, 장비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나 연기가 적절히 배기되지 않을 경우 폭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가열로 작업 시의 안전 수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열로 주위 일정 반경 내 출입 통제 및 차단 조치
  - 자동 온도 조절 및 과열 방지 장치의 기능 정기 점검
  - 가열로 사용 전 누설 테스트 및 배기 시스템 확인
  - 작업자 대상 화상 예방 교육 및 적절한 보호구 착용
  - 정기적인 유지보수 및 비상시 전원 차단 장치 확보

 

 

 

 

https://engineer125.tistory.com/352

 

화기작업 전 필수 안전 체크리스트 (안전조치사항)

화기작업 전 필수 안전 체크리스트 (안전조치사항)   1. 사전 준비 및 위험 평가  1) 위험 평가 및 작업 허가  - 작업 전, 작업환경 및 주변 인화성·가연성, 독성물질의 상태를 철저히 점

engineer12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