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착(끼임) 사고의 원인 분석 및 예방을 위한 기술적 접근
1. 정의
협착(끼임) 재해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재해 유형 중 하나로, 회전 또는 직선 운동을 하는 기계·설비 내에서
신체 일부가 끼이거나 말려 들어가면서 중대한 상해를 초래하는 사고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재해는 신체 절단, 압착, 골절 및 심각한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예방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2. 협착(끼임) 재해의 유형
협착(끼임) 재해는 기계·설비의 구조적 특성과 작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주요 위험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협착점
- 고정된 물체 사이에서 신체가 끼일 위험이 있는 공간
- 예: 프레스 기계의 상·하부 금형 사이, 리프트와 벽 사이
2) 끼임점
-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두 개의 물체 사이에서 신체가 끼일 가능성이 있는 영역
- 예: 크레인과 구조물 간 협소 공간, 컨베이어 벨트와 롤러 접점
3) 절단점
- 왕복 또는 회전 운동을 하는 기계의 절단 메커니즘에 의해 신체 일부가 절단될 위험이 있는 영역
- 예: 전단기(Shearing machine), 톱날, 프레스
4) 물림점
- 회전하는 두 개의 물체 사이에서 신체 일부가 말려 들어가는 지점
- 예: 기어 트레인(Gear train), 체인 및 스프로킷(Chain & Sprocket), 압연 롤러(Rolling roller)
5) 접선 물림점
- 회전하는 물체와 고정된 구조물 사이에서 신체가 협착될 가능성이 있는 접선 접촉 영역
- 예: 회전 드럼과 컨베이어 벨트의 접점
6) 회전 말림점
- 작업자의 의복, 장갑, 머리카락 등이 회전 부품에 의해 감겨 들어가면서 신체가 강제적으로 끌려가는 위험이 있는 영역
- 예: 선반(Lathe machine), 드릴링 머신(Drilling machine),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
3. 협착(끼임) 사고 사례 분석
산업 현장에서 발생한 협착(끼임) 재해 사례를 분석하면, 사고의 원인과 예방책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출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컨베이어 시스템 협착 사고
- 작업자가 이물질 제거 작업 중 롤러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손이 끼임
2) 기어 장치 협착 사고
- 작업자의 장갑이 회전 기어에 말려 들어가 손가락 절단
3) 프레스기 작동 중 협착 사고
- 작업자가 안전 장치 우회 작업을 수행하다가 손이 금형 사이에 협착
4. 협착(끼임) 재해 예방 대책
협착(끼임)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설비의 구조적 안전성 확보와 더불어 근로자의 안전의식 제고, 정기적인 유지보수 및 점검이 필수적입니다.
1) 기계적 방호장치의 설치 및 운용
- 회전체 및 동력 전달부(Transmission system)의 위험 요소를 차단하는 보호 커버 및 가드(Guard) 설치
- 기계 작동 중 방호장치가 제거되지 않도록 인터록(Interlock) 시스템 적용
2) 작업 안전 절차 준수 및 작업허가제도 시행
- 기계 유지보수 및 청소 시 전원 차단 및 'Lockout & Tagout (LOTO)' 절차 준수
- 협착(끼임) 위험이 있는 기계·설비 운영 시 2인 1조 작업 시행
3) 동력 전달부 점검 및 유지보수
- 기어, 풀리(Pulley), 체인, 벨트 등의 동력 전달 시스템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 시행
- 윤활(Lubrication) 및 부품 마모 상태를 관리하여 비정상적인 기계 작동으로 인한 협착 사고 예방
- 기계 정지 후에도 잔류 에너지가 남아 있을 수 있는 회전체의 감속 시간(Deceleration time) 고려하여 안전 확보
4) 개인 보호구 착용 및 작업 복장 준수
- 회전형 기계 작업 시 장갑 착용 금지 및 밀착형 작업복 착용 의무화
- 머리카락이 길 경우 안전모 및 헤어넷(Hairnet) 착용
5) 안전 교육 및 정기 점검
- 협착(끼임) 위험이 있는 설비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 징후가 발견될 경우 즉시 조치
- 신규 근로자 및 정기 근무자 대상 협착(끼임) 재해 예방 교육 프로그램 시행
6) 비상 대응 체계 구축
- 모든 위험 지역에 비상 정지 버튼(Emergency stop button, E-stop)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
- 사고 발생 시 응급조치 절차 및 긴급 구조 요청 프로토콜 확립
5. 관련 법규 및 기준
1) 산업안전보건법
- 협착(끼임) 재해 예방을 위한 법적 규정
2) 기계·설비 안전 기준
- 동력 전달 장치 및 회전체에 대한 방호 장치 설치 기준
3) 표준 작업 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OP)
- 협착(끼임) 위험이 있는 설비의 안전한 운용 지침
'안전,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FETY OPL: 작업 현장의 안전 강화를 위한 핵심 교육 (0) | 2025.02.15 |
---|---|
사후보존(Breakdown Maintenance)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주의사항 (2) | 2025.02.14 |
위험성 평가 추진 절차: 안전한 작업 환경을 위한 가이드 (0) | 2025.02.14 |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와 예방 대책 (0) | 2025.02.14 |
하인리히의 재해예방 5단계: 사고를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