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MCC UNIT의 운전 방식과 유지보수 가이드 :: 전기, 계장 엔지니어

MCC UNIT의 운전 방식과 유지보수 가이드

 

 

 

1. MCC UNIT 개요

  - MCC(Motor Control Center) UNIT는 저압 전동기의 운전 및 제어를 위한 설비로,

    다수의 전동기를 하나의 패널 내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임
  - 주로 산업 플랜트, 빌딩, 상업시설 등에서 사용되며, 전동기의 기동, 정지, 보호 기능을 수행함
  - 저압(보통 600V 이하)에서 사용되며, 고압 전동기의 경우 SWGR(Switchgear)로 운용됨

 

 

 

 


2. MCC UNIT의 구성 요소

1) 차단기(Breaker)
  - 전동기 보호를 위해 과부하, 단락, 지락 등의 이상 발생 시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함
  -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또는 FDS(Fuse Disconnect Switch)로 사용됨

2) 접촉기(Magnetic Contactor)

  - 전동기의 ON/OFF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로,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여 주 접점을 개폐하는 방식임
  - 내구성이 높고 신속한 제어가 가능하여 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요소임

3) 과부하 계전기(Overload Relay)
  - 전동기의 과부하를 감지하여 보호하는 장치로, 정격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동기를 보호함
  - 열동형(Thermal Overload Relay), 전자식(Electronic Overload Relay) 등이 있음

4) 계측 및 보호 장비
  - MCC에는 전압, 전류, 전력 등을 계측하는 장비와 이상 발생 시 경보를 제공하는 보호 계전기가 포함됨
  - CT(Current Transformer), PT(Potential Transformer), 전력계, 차단기 보호 계전기 등이 사용됨

5) 컨트롤 회로
  - 전동기의 원격 제어, 자동 운전, 인터록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연동하여 자동화된 운전이 가능함

 

 

 

 


3. MCC UNIT의 종류

1) FIXED TYPE
  - MCC 내부의 UNIT이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주로 대용량 전동기에 사용됨
  - 유지보수가 어렵지만 구조가 단순하여 신뢰성이 높음

2) DRAW-OUT TYPE
  - MCC 내부의 UNIT이 탈착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함
  - 각 UNIT을 개별적으로 점검 및 교체할 수 있어 고장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함
  - 주로 소용량 전동기에서 사용됨

 

 

 

 


4. MCC UNIT의 운전 방식

1) 직접 기동(Direct-On-Line, DOL)
  - 전동기에 전원을 직접 인가하여 기동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초기 비용이 저렴함
  - 전동기 기동 시 큰 기동전류가 발생하므로 소형 전동기에 주로 적용됨

2) 스타-델타 기동(Star-Delta Starting)
  - 전동기의 기동 전류를 줄이기 위해 초기에 Y결선으로 기동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결선으로 변경하는 방식
  - 중·대형 전동기에서 많이 사용됨

3) 리액터 기동(Reactance Starting)
  - 기동 시 직렬로 리액터를 삽입하여 전압 강하를 유도하여 기동전류를 제한하는 방식
  - 대형 전동기에 주로 적용됨

4) 소프트 스타터(Soft Starter)
  -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전압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전동기를 부드럽게 기동하는 방식
  - 기동 충격을 최소화하여 전동기 및 기계 부하의 수명을 연장함

5) 인버터 기동(Inverter Starting)
  - 주파수 변환을 통해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식
  - 기동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절감 효과가 뛰어남
  - 팬, 펌프 등의 부하에서 주로 사용됨

 

 

 

 


5. MCC UNIT의 유지보수 및 점검

1) 정기 점검
  - 차단기, 접촉기, 계전기 등의 동작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함
  - 단자부의 조임 상태 점검 및 접촉 불량 여부 확인

2) 절연 저항 측정
  - 전동기 및 배선의 절연 상태를 측정하여 누전 여부를 확인함
  - 절연 저항이 낮을 경우 습기 제거 및 배선 교체 등의 조치가 필요함

3) 열화 감지
  - 열화 발생 여부를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Thermal Imaging Camera) 등을 이용하여 확인함
  - 이상 발열이 감지될 경우 부품 교체 및 보강 작업을 수행함

4) 소프트웨어 및 설정 점검
  - IMCC의 경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설정 값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시스템의 정상 동작을 유지함
  - PLC 프로그램 및 네트워크 통신 상태 점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