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CONTROL PANEL(LCP)과 LOCAL OPERATED PANEL(LOP)의 차이점과 문제점
1. LOCAL CONTROL PANEL(LCP)
(1) 정의
- LOCAL CONTROL PANEL(LCP)은 특정 장비나 시스템을 현장에서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패널임
- 일부 기계 설비의 경우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로 운전되지만, 특정 기계 VENDOR에서는 DCS를 신뢰하지
않고, 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PLC VENDOR로 구성된 LCP를 추천하는 경우가 있음
(2) 주요 기능
- 원격 제어 시스템(DCS, SCADA)과 연계하여 장비를 현장에서 제어 가능
- 장비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발생 시 ALARM 또는 TRIP 제공
- 비상 정지 기능(Emergency Stop) 및 보호 기능 포함 가능
- 모터, 펌프, 밸브 등의 작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 가능
- 기계 VENDOR 요청에 따라 DCS 대신 PLC 기반의 LCP를 사용할 수 있음
(3) 주요 구성 요소
- HMI(Human-Machine Interface): 사용자가 제어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제공
- TOUCH SCREEN: 터치 방식으로 장비를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 CPU: LCP에서 장비의 동작을 논리적으로 제어하는 핵심 프로세서
- POWER SUPPLY: PLC 및 제어 장비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
- I/O CARD: 입력/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장비와 제어 시스템을 연동
- LAMP 및 SWITCH: 장비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조작을 위한 물리적 버튼
- COMMUNICATION MODULE: DCS, SCADA 또는 다른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 설치 위치 및 용도
- 현장에 설치되지만, 주요 제어 센터(메인 컨트롤 룸)와 연계하여 운전됨
- 공정 시스템, 전력 시스템, 자동화 설비 등에 사용됨
- 특정 기계 VENDOR가 추천하는 PLC 기반 LCP는 DCS보다 빠르게 반응할 수 있음
(5) LCP의 장점
- PLC 기반 제어로 신뢰성이 높고, DCS보다 빠른 응답 속도를 보일 수 있음
- 특정 기계 VENDOR가 자주 사용하는 PLC 브랜드를 활용하여 운전 신뢰도를 향상
- 현장에서 직접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
(6)단점
- 추가적인 관리 포인트가 발생하여 유지보수 부담 증가
- 결선 문제, 전자 부품 노후화 등의 이유로 ALARM 또는 TRIP 발생 가능
- 시스템이 분산됨에 따라 DCS와의 인터페이스 관리 필요
2. LOCAL OPERATED PANEL(LOP)
(1) 정의
- LOCAL OPERATED PANEL(LOP)은 특정 장비의 수동 조작을 위한 패널임
- 일반적으로 버튼, 스위치, 인디케이터 램프 등이 포함됨
(2) 주요 기능
- 장비의 ON/OFF, START/STOP 등 기본적인 수동 조작 가능
- 장비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운전, 정지, 이상 등) 포함
- LCP처럼 복잡한 제어 기능이 아니라 단순한 조작이 목적
(3) 주요 구성 요소
- LAMP: 장비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
- SWITCH: 장비의 ON/OFF 및 운전 모드 변경
- RELAY: 신호를 증폭하거나 장비의 상태를 제어
- PUSH BUTTON: 간단한 조작을 위해 사용되는 버튼
- TERMINAL BLOCK: 배선 연결을 위한 단자
(4) 설치 위치 및 용도
- 장비 바로 옆이나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운영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됨
- 엘리베이터, 컨베이어, 크레인, 모터 등의 간단한 현장 조작이 필요한 경우 사용됨
- 보통 주요 제어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장비 단독 조작 목적이 강함
3. LCP와 DCS의 속도 차이
LCP는 일반적으로 PLC 기반으로 구성되며, PLC는 고속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어 DCS보다 빠르게 반응할 수 있음.
DCS는 여러 개의 신호를 종합적으로 처리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속도가
PLC에 비해 느릴 수 있음.
1) PLC (LCP 기반 제어 시스템)
- 고속 제어 및 신뢰성이 필요할 때 사용됨
- 특정 기계 VENDOR에서 PLC 기반 LCP를 추천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음
- 실시간 처리 속도가 DCS보다 빠름
2) 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
- 중앙 집중 제어 방식으로 공정 전체를 관리
- 여러 신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제어를 수행
- 속도보다 시스템의 안정성과 통합 제어가 중요
- 따라서, 속도 측면에서는 PLC 기반의 LCP가 DCS보다 빠를 가능성이 높음. 하지만,
LCP도 관리해야 하는 포인트가 늘어나기 때문에 유지보수 부담이 증가할 수 있음.
4. LCP/LOP 관리 포인트 증가로 인한 문제
LCP/LOP를 추가로 도입하면 관리해야 할 지점이 많아지므로, 유지보수 부담이 증가함.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
1) 결선 문제 : 배선이 잘못 연결되거나 헐거워지면 정상적인 동작이 어려움
2) 노후화, 환경적 요인 등 : 부품의 노후화나 외부 환경 요인(온도, 습도 등)으로 인해 오작동 가능
3) ALARM 및 TRIP 발생 가능 : 결선 문제나 장비 이상으로 인해 불필요한 ALARM 또는 TRIP이 발생할 수 있음
따라서, LCP를 도입할 경우 장비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유지보수 계획을 철저히 수립해야 함.
'전기, 계장 직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전반과 PANEL의 차이와 역할 (0) | 2025.02.23 |
---|---|
GHP vs EHP: 시스템 에어컨의 차이와 선택 기준 (2) | 2025.02.21 |
MCC UNIT의 운전 방식과 유지보수 가이드 (0) | 2025.02.18 |
전력망의 플리커 현상: 발생 원인과 효과적인 대응 방법 (0) | 2025.02.17 |
Motor Space Heater란? 작동방법과 필요성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