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wer(블로워)의 Spec'(사양)과 종류
1. 블로워(Blower) 개요
- 블로워(Blower)는 공기 또는 가스를 이동시키는 기계 장치로, 산업 공정, 공조 시스템, 환경설비, 석유화학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블로워는 송풍기(Fan)와 압축기(Compressor)의 중간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주로 저압~중압의 공기 이송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 블로워는 크게 저압 블로워, 중압 블로워, 고압 블로워로 구분되며, 적용 분야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해야 한다.
- 또한 용량, 압력, 소음, 에너지 효율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한 블로워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블로워의 주요 사양(Specifications)
(1) 성능 사양
1) 유량(Flow Rate, m³/min 또는 CFM)
- 블로워가 단위 시간당 이동시키는 공기 또는 가스의 양
- 일반적으로 ㎥/min(입방미터/분) 또는 CFM(Cubic Feet per Minute) 단위로 표시됨
- 산업용에서는 m³/h(입방미터/시간)로도 표시됨
2) 정압(Static Pressure, mmAq 또는 Pa)
- 블로워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주어진 유량에서의 압력 차이)
- mmAq(수주 밀리미터) 또는 Pa(파스칼) 단위 사용
- 시스템의 저항과 압력 손실을 고려하여 적절한 블로워 선택 필요
3) 전압(Voltage, V)
- 사용 전압은 보통 단상(220V) 또는 삼상(380V, 440V)
- 해외 수출용 블로워는 110V, 480V 등도 사용 가능
4) 주파수(Frequency, Hz)
- 50Hz 또는 60Hz (국내는 60Hz 사용)
5) 회전속도(RPM, Revolutions Per Minute)
- 블로워 임펠러(Impeller)의 회전 속도
- 고속 블로워의 경우 높은 RPM이 필요
(2) 구조 및 설계 사양
1) 임펠러(Impeller) 타입
- 전진형(Forward Curved): 높은 풍량, 저압
- 후진형(Backward Curved): 높은 압력, 높은 효율
- 래디얼(Radial Type): 고압용
2) 재질(Materials)
- 탄소강(Carbon Steel, SS400): 일반적인 환경
-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SS304, SS316): 내식성이 필요한 환경
- 알루미늄(Aluminum): 경량 및 부식 방지 목적
- FRP(Fiber Reinforced Plastic): 화학 공정 등 부식 환경에서 사용
3) 베어링(Bearing) 타입
- 볼 베어링(Ball Bearing) 또는 롤러 베어링(Roller Bearing) 사용
- 내구성과 소음 수준에 따라 적절한 선택 필요
4) 구동 방식(Drive Type)
- 직결형(Direct Drive): 모터와 블로워가 직접 연결됨 → 고속, 소형
- 벨트 구동형(Belt Drive): 벨트 및 풀리를 통해 동력 전달 → 속도 조절 가능
5) 형태에 따른 분류
- 원심 블로워(Centrifugal Blower) : 임펠러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이동시키며, 중압~고압 용도로 사용됨.
- 루츠 블로워(Roots Blower) : 두 개의 로터(Rotor)가 맞물려 일정한 풍량을 유지하며 공기를 이송하는 방식.
- 스크류 블로워(Screw Blower) : 두 개의 나선형 로터가 맞물려 공기를 점진적으로 압축하며 높은 효율을 제공.
- 터보 블로워(Turbo Blower) : 고속 회전하는 터빈 임펠러를 이용해 대량의 공기를 고압으로 이송하는 방식.
3. 블로워의 주요 성능 고려사항
1) 효율(Efficiency)
- 블로워의 성능을 평가할 때, 공기역학적 효율이 중요한 요소
- 블로워의 소비 전력 대비 공기 이송량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고려
2) 소음 수준(Noise Level, dB)
- 블로워의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은 일반적으로 50~90dB 수준
- 소음 저감이 필요한 환경에서는 소음 방지 설계 및 방음 대책 필요
3) 내환경성(Environmental Resistance)
- 내식성(Anti-corrosion): 화학 공장에서 사용 시 내식성 재질 필수
- 내열성(Heat Resistance): 고온 환경에서는 내열 코팅 또는 특수 재질 사용
- 내습성(Moisture Resistance):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는 방수 설계 고려
4. 블로워 적용 사례
1) 석유화학 플랜트
- 반응기 및 공정 장치에서 공기 공급, 가스 이송
- 정제 공정에서 가스 이동 및 배출
2) 환경설비(집진기, 공기정화기)
- 오염된 공기 제거 및 환기
- 산업 폐기물 처리 시 연소 보조
3) HVAC(공조 시스템)
- 빌딩, 공장 내 송풍 및 환기
- 터널 및 지하철 환기 시스템
4) 보일러 및 연소 시스템
- 연소 공기에 필요한 송풍
- 대형 보일러에서 공기 공급
5. 블로워 선정 시 고려사항
1) 필요한 풍량 및 압력: 사용 환경에 적합한 성능 사양 검토
2) 재질 선택: 내식성, 내열성, 내습성 고려
3) 소음 요구 조건: 소음이 민감한 환경인지 확인 후 적절한 소음 대책 필요
4) 운영 효율 및 유지보수 용이성: 효율이 높은 모델을 선택하여 유지보수 비용 절감
5) 설치 공간 및 전원 사양: 공간 제약 및 전기 요구 사항 확인
'기계, 장치, 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G CLEANING이란? 배관 내부 세척과 유지관리 방법 (0) | 2025.02.26 |
---|---|
블로워(Blower) 구동 방식과 형태별 특징 분석 (0) | 2025.02.25 |
컬럼(Column) 종류별 특징과 스펙(Spec') 분석 (0) | 2025.02.25 |
배관 내부 세척 방법: Pig Cleaning과 Jet Cleaning의 차이점 (0) | 2025.02.24 |
FOUNDATION의 재질, 높이, 역할 (진동, 지열, 침수 보호)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