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PROOFING: 건물 및 산업 시설 내화 처리 개요와 적용 방안
1. FIRE PROOFING 개요
- FIRE PROOFING(내화 처리)은 건축물 및 산업 시설에서 화재 발생 시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고 인명과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다.
- 구조물이 일정 시간 동안 화재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며, 철골 구조물, 콘크리트 구조물, 소방 설비 등에
적용되어 내화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 단순히 내화재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 및 산업 설비의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설계되어
화재 시 건물 붕괴를 방지하고 안전한 대피 시간을 확보하며, 화재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BOVIA 271과 내화 기준 2시간
1) BOVIA 271
- BOVIA 271은 특정 내화 기준이나 기술 표준을 의미하며, 내화 성능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데 사용된다.
-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내화 성능 보장의 핵심 요소이다.
2) 내화 기준 2시간
- 내화 기준 2시간은 화재 발생 시 2시간 동안 구조물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이를 충족하기 위해 내화 처리가 적절히 이루어져야 하며, 일반적으로 건축 자재, 방화문, 전기 설비(케이블, 분전반),
소방 시설, 압력 용기 등에 적용된다.
3. FIRE PROOFING 작업의 주요 요소
1) 방청페인트(Anti-corrosion Paint)
- 철골 구조물이 녹슬지 않도록 보호하는 도료로, 내화 처리를 하기 전 강재 구조물에 도포되어 부식을 방지한다.
- 내화성이 강화된 방청페인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철골 기둥, 보(Beam), 데크 플레이트 등에서 적용된다.
2) 메쉬 설치(Mesh Installation)
- 철골 구조물에 내화재가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금속망(와이어 메쉬, Expanded Metal)을 감싸 설치하며,
내화재의 탈락을 방지한다.
3) 내화뿜칠(Fireproof Spray, 내화 피복)
- 내화재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철골 구조물에 분사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다.
- 내화재 종류: 시멘트 계열(경량 모르타르,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기반), 석고 계열(석고 기반 내화 미장재),
세라믹 계열(고온 내열성이 뛰어난 세라믹 복합 재료)
※ 시공 순서
: 방청페인트 도포 → 메쉬 설치 → 내화 뿜칠 진행
4. 내화재료인 활석
1) "자를 할(割) + 돌 석(石)"으로, 일반적으로 가공된 석재나 내화성이 뛰어난 골재를 의미한다.
2) 경량 골재(Lightweight Aggregate)
- 내화 콘크리트나 내화 벽돌 제작에 사용되며, 팽창질 점토, 팽창질 슬레이트, 부석(화산암), 페리클라스(Periclase) 등이
포함되어 화재 시 내화 성능을 향상시킨다.
3) 내화 피복재(Fireproof Coating Material)
- 콘크리트 또는 철골 구조물에 내화 몰탈이나 스프레이 타입 내화재로 도포되어, 화재 발생 시 강재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구조 붕괴를 방지한다.
4) 내화벽돌 및 내화패널(Fireproof Bricks & Panels)
- 내화성이 높은 광물(알루미나, 실리카, 마그네사이트, 크롬광 등)을 혼합하여 고온에서도 강도를 유지하는 제품이다.
5. FIRE PROOFING 적용 분야
1) 건물 철골 구조물(기둥, 보 등)
- 철골이 2시간 동안 화재에 견딜 수 있도록 내화 처리된다.
2) 발전소, 석유화학 플랜트 등
-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산업 시설에서 철골 보호를 위해 적용된다.
3) 공장 및 산업 설비
- 내화 성능 확보를 위해 적용된다.
4) 고층 빌딩, 지하철 역사, 터널 등
- 화재 시 대규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필수 공정이다.
6. 결론
1) FIRE PROOFING 작업은 화재 발생 시 철골 구조물이 붕괴되지 않도록 보호하여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최소화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2) 방청페인트, 메쉬 설치, 내화뿜칠 등의 작업을 통해 철골 구조물의 내화 성능을 확보하며, 각 시설의 내화 기준에
맞춰 시공되어야 한다.
3) 특히 BOVIA 271과 같은 내화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적절한 내화 재료 선택과 시공 방식이 필수적이다.
4) 이러한 공정을 철저히 시행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산업 및 건축 분야에서 필수적인 내화 공정으로 자리 잡고 있다.
'기계, 장치, 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압연(Rolling) 공정의 기본 원리와 종류 그리고 장점,단점 (0) | 2025.03.20 |
---|---|
주조(Casting)의 기본 원리와 공정 단계 분석 (2) | 2025.03.20 |
IRIS 초음파 검사: 열교환기 튜브 내부 결함 정밀 분석 (0) | 2025.03.18 |
도료의 주 목적과 종류, 작업 시 주의사항 완벽 가이드 (0) | 2025.03.16 |
금속 부식 속도: 전류 밀도와 분극의 역할 분석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