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전기실(MCC Room)의 이상적인 온·습도 기준과 유지 방법 :: 전기, 계장 엔지니어

 

전기실(MCC Room)의 이상적인 온·습도 기준과 유지 방법

 

 


1. MCC 전기실이란?
  - MCC (Motor Control Center) 전기실은 플랜트, 공장, 발전소 등에서 모터 및 전기 설비를 제어하는 장비가 모여 있는

    공간입니다.

  - MCC 전기실에는 배전반, 차단기, 인버터, 보호 계전기,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비들은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아래에 제시한 MCC 전기실의 온도와 습도 기준은 일반적인 참고용 수치이며,
실제 각 회사 및 산업 현장의 운영 기준은 내부 규정 및 설비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비 제조사의 권장 조건 및 회사 내부 기준을 우선적으로 참고하여 유지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MCC 전기실에서 온도 유지의 중요성
MCC 전기실은 전력 장비가 밀집된 공간이므로 발열이 많고,  장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적절한 온도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전기 설비의 성능 저하

  - 과열된 장비는 정상적인 동작이 어려워지며, 내부 부품의 저항 증가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집니다.

 

2) 전자 부품의 수명 단축

  - 반도체 소자가 포함된 장비(인버터, PLC 등)는 고온에서 수명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습니다.

 

3) 절연 성능 저하 및 고장 위험 증가

  - 고온 상태에서는 배전반 및 케이블의 절연 성능이 저하되어 절연 파괴, 단락(Short), 화재 위험이 커집니다.

 

4) 차단기 및 계전기 오작동

  - 과열된 차단기는 정격 이하의 전류에서도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으며, 보호 계전기의 센서도

    부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5) 적정 온도 범위
  - 일반적인 MCC 전기실의 권장 온도는 25~30℃**이며, 최대 35℃를 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온도가 35℃ 이상으로 올라가면 전기 장비의 효율이 떨어지고, 40℃ 이상에서는 장비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 여름철에는 냉각 시스템(공조기, 에어컨, 환기팬 등)을 적극적으로 운영하여 실내 온도를 30℃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3. MCC 전기실에서 습도 유지의 중요성

1) 고습(습도 과다)의 문제점 (60% 이상)
  - 습도가 높으면 결로(Condensation, 이슬 맺힘)가 발생하여 전기 설비 내부에 수분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 결로가 형성되면 누전, 단락(Short), 절연 저하 등의 원인이 되며, 부식(녹)이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 차단기, 계전기 등의 접점 부분이 부식되면 접촉 불량이 발생하여 전력 공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특히 장마철이나 해안가,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습도 조절이 더욱 중요합니다.

 

2) 저습(습도 부족)의 문제점 (40% 이하)
  - 습도가 너무 낮으면 정전기(ESD, Electrostatic Discharge)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 정전기는 전자기기의 회로를 손상시키거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특히 PLC, 인버터, 보호 계전기 등의 반도체 장비는 정전기에 매우 취약합니다.

 

3) 적정 습도 범위
  - MCC 전기실의 적정 습도는 40~60%입니다.
  - 습도가 60%를 넘으면 제습기, 공조기, 환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습도를 낮춰야 합니다.

  - 습도가 40% 이하로 떨어질 경우 가습기, 공조기, 습도 조절기 등을 이용하여 습도를 올려야 합니다.

 

 

 

 

 

4. MCC 전기실의 온·습도 유지 방법

 

1) 공조 시스템(에어컨, 환기팬) 활용
  - MCC 전기실에는 반드시 공조기(에어컨) 및 환기팬을 설치하여 온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 전력 사용량이 많은 여름철에는 실내 온도를 3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제습기 및 가습기 활용
  - 습도가 60%를 초과하면 제습기 및 공조기를 활용하여 습도를 낮춥니다.
  - 반대로, 겨울철 등 건조한 시기에는 가습기를 사용하여 습도를 40% 이상으로 유지합니다.

 

3) 환기 및 공기 순환
  - MCC 전기실 내부의 공기가 정체되면 특정 부분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결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환기구를 확보하고 **팬(Fan)**을 활용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온도계 및 습도계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상태를 확인하고,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알람이 발생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5) 장비 내부 냉각 팬 점검
  - MCC 내 개별 장비(인버터, 차단기, PLC 등)에는 자체 냉각 팬이 장착된 경우가 많습니다.
  - 정기적으로 냉각 팬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고 이물질(먼지 등)을 제거하여 냉각 효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5. 결론

 

  - MCC 전기실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은 전기 설비의 정상적인 운용과 수명 연장,

    안전 확보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 온도는 25~30℃, 습도는 40~60*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 과열, 결로, 정전기 등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공조 시스템, 환기, 습도 조절 장치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온·습도 모니터링을 통해 MCC 전기실의 환경을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