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질환 : 경추통의 5가지 예시와 증상,원인,예방
■ 개요
- 산업현장에서의 경추통은 반복적인 동작, 무거운 하중 취급, 장시간 고정 자세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목 부위의 통증입니다.
- 제조업, 건설업, 물류창고 등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근로자들이 겪는 경추통은 작업 능률 저하와 함께 장기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작업환경 개선, 정기적인 스트레칭, 적절한 보호장비 사용 및 휴식이
필수적입니다.
■ 산업현장에서의 예시 5가지
예시 1: 공장 조립 라인 근로자
(1) 사례설명
- 공장 조립 라인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A씨는 반복적인 조립 작업과 고정된 작업 자세로 인해 목과 어깨에
지속적인 피로와 통증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2) 주요증상
- 목의 뻣뻣함, 지속적인 경미한 통증, 어깨 및 팔로 방사되는 불편감.
(3) 원인
- 반복적인 동작, 제한된 작업 공간에서의 비정상적인 자세, 휴식시간 부족.
(4) 예방 및 관리
- 작업 중 정기적인 짧은 휴식과 스트레칭, 인체공학적 작업대 및 보호 장비 사용, 작업자 교육을 통한 올바른 자세 유지.
예시 2: 건설 현장 근로자
(1) 사례설명
- 건설 현장에서 중장비 운전과 무거운 자재 취급을 하는 근로자 B씨는 부하가 지속적으로 목에 전달되어
경추통을 호소하게 되었습니다.
(2) 주요증상
- 목 주변의 강한 통증, 뻣뻣함, 작업 후 두통과 어지러움.
(3) 원인
- 무거운 자재의 반복적 취급, 진동과 충격에 의한 경추 부하, 불안정한 작업환경.
(4) 예방 및 관리
- 자재 취급 시 보조 인력 활용, 적절한 보호 장비(목 보호대) 착용, 정기적인 체력 단련 및 스트레칭, 작업 전후
충분한 워밍업과 쿨다운.
예시 3: 물류창고 근로자
(1) 사례설명
- 물류창고에서 무거운 물품을 반복적으로 들어올리고 운반하는 C씨는 잘못된 리프팅 동작으로 인해
경추 부위에 부담이 누적되어 통증을 경험합니다.
(2) 주요증상
- 목과 어깨의 지속적인 통증, 작업 후 심한 근육 피로, 가끔씩 나타나는 저림 증상.
(3) 원인
- 무거운 물건의 부적절한 리프팅, 반복적인 물품 이동, 불충분한 휴식 및 준비운동.
(4) 예방 및 관리
- 올바른 리프팅 기술 교육, 작업 중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 보조 기계(리프트나 카트 등) 활용, 정기적인 건강 점검.
예시 4: 대형 기계 조작 근로자
(1) 사례설명
- 대형 기계를 조작하는 D씨는 장시간 모니터와 조작판을 바라보며 고정된 자세로 작업하는 중 목의 긴장이 지속되어
경추통 증세가 나타났습니다.
(2) 주요증상
- 목의 경직과 지속적 통증, 눈의 피로와 두통, 어깨의 무거운 느낌.
(3) 원인
- 장시간 고정된 자세, 모니터 위치 부적절, 집중력 유지로 인한 신체적 긴장 지속.
(4) 예방 및 관리
- 작업환경의 인체공학적 개선(모니터 높이 조정, 의자 및 책상의 최적 배치), 정기적인 휴식과 간단한 스트레칭,
작업 중 자세 변경.
예시 5: 용접 및 고열 작업 근로자
(1) 사례설명
- 용접 작업이나 고열 환경에서 근무하는 E씨는 작업 특성상 불편한 자세를 오랜 시간 유지하게 되어
경추 및 상부 척추에 무리가 가해졌습니다.
(2) 주요증상
- 목과 어깨의 피로감, 작업 후 심한 통증과 근육 경직, 집중력 저하.
(3) 원인
- 고열 환경으로 인한 체력 소모, 불편한 작업 자세, 반복적인 동작과 중간 휴식 부족.
(4) 예방 및 관리
- 작업 전후 충분한 스트레칭 및 근력 강화 운동, 적절한 휴식과 수분 보충, 개인 보호장비 착용,
작업환경 개선(온도 조절 및 작업자 배치 조정).
'안전,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발에 의한 손상 영향 및 피해 분석 (0) | 2025.03.14 |
---|---|
정전기 제거를 통한 화재·폭발 방지 기술 (0) | 2025.03.14 |
근골격계질환 사례: 산업 현장에서 본 요통의 5가지 예시와 예방, 증상, 원인 분석 (0) | 2025.03.03 |
근골격계질환의 특징과 발생 단계: 예방과 관리 전략 (2) | 2025.03.03 |
작업허가서 실수 5가지와 예방 방법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