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Valve Leak Through 개념과 원인 및 효과적인 개선 방안 :: 전기, 계장 엔지니어

Valve Leak Through 개념과 원인 및 효과적인 개선 방안

 

 

1. Valve Leak Through 개념
- 밸브를 완전히 닫았을 때도 유체가 밸브 내부에서 디스크(플러그)를 통해 유입 측에서 유출 측으로 미세하게 누설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외부 누설(leak)이 아니라 내부적인 누설(leakage)을 의미합니다.

 

 


2. Valve Leak Through의 주요 원인
- 시트 손상 또는 이물질로 인한 밀봉 불량
- 디스크(플러그)의 마모
- O-ring, Seal Ring 등의 노후화
- 특히 시트와 플러그(디스크)의 표면 거칠기나 재질 문제가 있으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3. 개선 방안 No.1_Seal Ring 소재 변경
Plug Valve의 Seal Ring을 기존의 Teflon(PTFE)에서 우레탄(Urethane)으로 변경하여 개선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1) 우레탄으로 변경 시 장점
  - 마모강도 우수: 반복적 개폐에도 마모에 강함
  - 탄성 복원력 우수: 변형 후 원상복귀 성능이 뛰어나, 장기적으로 밀봉 성능 유지 가능

2) 우레탄으로 변경 시 단점
  - 내화학성 취약: Teflon에 비해 산·알칼리·용매 등 화학물질에 약함
  - 내열성 제한: 일반적으로 최대 80~120℃ 수준으로 고온 고압 환경 부적합

 

 

 

4. 개선 방안 No.2_ 밸브 시트 설계 변경
1) 소프트 시트(Soft Seat) → 메탈 시트(Metal Seat) 적용
  - 고온, 고압 환경에서 누설 방지
  - 화학물질에 대한 내구성 향상
2) 이중 시트(Dual Seat) 구조 채택
  - 이중 밀봉면을 통해 누설 리스크 감소
  - 한쪽 시트 누설 발생 시 이중 구조로 추가적인 방어 가능

 

 


5. 개선 방안 No.3_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설치
- 밸브 상류 스트레이너(Strainer) 또는 필터 설치
- 유체 내 이물질 제거로 시트 및 디스크 손상 방지
- 누설의 주된 원인인 이물질을 사전에 차단하여 문제 예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