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LEVEL SWITCH 오작동 방지: CAPACITANCE 대신 FLOAT 방식을 추천하는 이유 :: 전기, 계장 엔지니어

LEVEL SWITCH 오작동 방지: CAPACITANCE 대신 FLOAT 방식을 추천하는 이유

 

 


1. CAPACITANCE TYPE LEVEL SWITCH의 오작동 발생
- CAPACITANCE TYPE LEVEL SWITCH는 센서와 탱크 벽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하여 액체 존재 여부를 

  판단합니다
- 하지만, 이 방식은 액체의 유전율(Dk) 변화에 민감하여, 액체의 조성이나 온도가 변할 경우 오작동이 빈번히 발생합니다
- 또한, 센서 표면에 슬러지나 결로가 생기면 센서가 이를 액체로 잘못 인식하거나, 액체를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일으킵니다
- 전기적 노이즈에도 민감하여 인버터나 고압 설비가 가까운 곳에서는 잘못된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장기간 사용하면 센서의 보정값(Zero/Span)이 점차 변형되어 오작동 빈도가 높아집니다

 

 


2. FLOAT TYPE LEVEL SWITCH를 선택하는 이유
- FLOAT TYPE LEVEL SWITCH는 액체 수위에 따른 부력으로 작동하며, 액체의 유전율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아 

  액체 종류가 자주 변하는 공정에도 안정적입니다
- FLOAT TYPE은 표면에 오염물이 일부 부착되더라도 부력에 의해 정상 작동하기 때문에 센서 오염 문제에 

  매우 둔감합니다
- 또한 기계적 또는 자석식 스위치 방식을 사용하여 전기적 노이즈 간섭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 별도의 전자 회로나 보정이 필요하지 않아 장기간 사용에도 오차 누적이나 보정값 편차가 없어 신뢰성이 높습니다

 

 


3. 결론
- CAPACITANCE TYPE LEVEL SWITCH는 환경 변화에 민감하여 오작동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공정 조건이 까다로운 경우 FLOAT TYPE LEVEL SWITCH가 더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선택입니다

 

 

 

4. CAPACITANCE TYPE LEVEL SWITCH
1) 작동 원리
  - 센서와 탱크 벽 간의 정전용량(Capacitance) 변화로 액체 존재 판단

 

2) 장점
  - 움직이는 부품이 없어 내구성 우수, 유지보수 적음
  - 고온·고압 조건에서도 사용 가능
  - 다양한 액체(고점도 포함)에 적용 가능

3) 단점
  - 액체의 유전율(Dielectric constant)에 민감하여 보정 필요
  - 센서 표면 오염(찌꺼기, 결로 등)에 의한 오작동 가능
  - 설치 위치의 접지 및 전기 노이즈에 민감

 

 


5. FLOAT TYPE LEVEL SWITCH
1) 작동 원리
  - 액체 수위 변화에 따른 부력으로 플로트가 움직이며 스위치 작동

2) 장점
  - 작동 원리가 단순해 신뢰성 우수
  - 액체의 유전율이나 성분 변화에 무관
  - 오작동 적고 유지보수 용이

3) 단점
  - 플로트에 이물질 걸림 가능성 있음
  - 고점도 액체에는 적합하지 않음
  - 기계적 부품으로 인해 마모·손상 우려 존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