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비에 의해 형성되는 위험점의 종류와 특성
1. 기계설비에 의해 형성되는 위험점의 종류와 특성
- 기계설비는 산업현장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핵심 요소이지만,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물리적 위험을 수반합니다
- 이러한 위험은 주로 기계의 움직이는 부분에서 발생하며, 인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접근하는 경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따라서, 기계설비에 의해 형성되는 위험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방호 조치를 마련하는 것이
산업안전의 기초입니다
1) 협착점 (Shear Point)
- 협착점은 두 개 이상의 기계 요소가 맞물리거나 교차하면서 좁아지는 공간에서 형성되는 위험점입니다
- 주로 왕복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하는 부분과 고정된 구조물 사이, 혹은 두 회전체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 예시: 프레스의 슬라이드와 금형 사이, 회전기어와 하우징 사이
- 사고 유형: 손가락이나 팔이 협착되어 절단, 분쇄, 파열 등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음
- 협착점은 비교적 명확하게 형성되며, 기계가 가동 중일 때 특히 주의가 요구됩니다
2) 끼임점 (Entanglement Point)
- 끼임점은 회전 부품과 고정 부품 또는 인접 부품 사이에서 형성되는 위험점으로, 신체의 일부나 의복이 끼어드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 예시: 롤러, 벨트풀리, 체인 스프로킷 사이
- 사고 유형: 머리카락, 장갑, 옷자락 등이 말려 들어가 신체 전체가 끌려 들어가는 중대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
- 끼임점은 보통 기계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나, 동작 중에는 접근이 어렵고 빠르게 사고가 발생하므로 물리적
방호장치가 필수입니다
3) 절단점 (Cutting Point)
- 절단점은 날카로운 절삭 도구 또는 가공 공구가 회전 또는 직선 운동을 하며 자르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 예시: 선반의 절삭공구, 프레스의 칼날부, 커팅기계의 블레이드
- 사고 유형: 손가락, 손바닥 등의 절단, 열상, 관통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
- 절단점은 기능상 날카롭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방호장치를 제거하거나 우회 접근을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합니다
4) 물림점 (Nip Point)
- 물림점은 두 회전체(또는 회전체와 고정체)가 서로 가까이 위치하여 그 사이로 신체 부위나 물체가 말려 들어가는 지점을
말합니다
- 예시: 두 개의 회전 롤러 사이, 벨트와 풀리 접촉부
- 사고 유형: 손이나 손가락이 말려 들어가 압착, 파열, 관절 분리 등이 발생
- 물림점은 겉보기에는 위험성이 인지되기 어려우나, 사고 발생 시 피해가 크므로 비상 정지 장치 및 유도 커버를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5) 접선물림점 (In-running Nip Point or Tangential In-running Nip Point)
- 접선물림점은 회전하는 두 개의 요소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촉하는 지점에서 형성되는 물림점의 일종입니다
- 일반적인 물림점보다 신체 일부가 더 깊숙이 끌려 들어갈 위험이 높고, 탈출이 어렵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 예시: 두 개의 회전하는 롤러의 접선부, 로터리 프레스의 회전 실린더 접점
- 사고 유형: 손이 말려 들어가 전완골 골절, 근육 파열, 신경 손상 등 중증 부상 가능성
- 접선물림점은 특히 고속 회전 장치에서 치명적이며, 방호 커버나 자동 정지장치가 요구됩니다
6) 회전말림점 (Rotating Part Entanglement Point)
- 회전말림점은 단일 회전체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주변 물체를 감아 올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입니다
- 다른 위험점과 달리 맞물리는 요소가 없이 하나의 축 또는 날개형 부품만으로도 위험을 형성합니다
- 예시: 회전하는 드릴축, 교반기 날개, 선풍기 축
- 사고 유형: 머리카락, 소매, 작업복 등이 말려 들어가면서 목 부위 압박, 상반신 끌림 등 중대 사고로 이어짐
- 회전말림점은 작업자의 안전모, 보호장구, 단정한 복장이 매우 중요하며, 회전체 주위에는 투명 방호덮개나 감지센서 등의
장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2. 결론
기계설비에 의한 위험점은 대부분 가시적인 운동 부위에서 발생하며, 사고 발생 시 그 피해가 중대하고 회복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각 위험점의 형성과정을 명확히 이해하고, 다음과 같은 사항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 위험점별 맞춤형 방호장치 설치
- 작업 전 기계 정지 확인 및 Lock-Out Tag-Out 절차 준수
- 위험 교육 및 사전 점검 철저 이행
- 정기적인 기계 점검 및 방호장치 유지관리
기계설비는 효율성과 위험이 공존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 측면에서 기계의 위험점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의 핵심입니다
'안전,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물질 위험성 평가, 왜 지금 해야 할까? (0) | 2025.06.06 |
---|---|
근골격계질환, 왜 발생하고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0) | 2025.05.27 |
화재의 종류(A,B,C,D,K급 화재)와 특징 (0) | 2025.05.27 |
고소 작업 위험성 평가, 필수 항목과 사고 사례 예시 (0) | 2025.03.29 |
밀폐 공간 작업의 대표 사례 5가지와 안전수칙 정리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