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내 교통안전 수칙 13가지
1. 차량과 보행자 동선 분리
- 공장 내에서는 지게차, 트럭, 자재 운반차 등 산업용 차량이 빈번히 운행되므로 차량과 보행자의 동선을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 보행자는 전용 통로만을 이용하고, 바닥 표시와 표지판을 통해 차량 진입이 제한되도록 조치해야 합니다
- 교차로, 창고 앞, 출입문 부근에는 반사경, 경광등, 차선 구분선 등을 설치하여 사고 가능성을 낮춰야 합니다
2. 보행자 우선 통행 원칙
- 보행자는 공장 내 통행 시 차량보다 우선권을 가지며, 차량 운전자는 보행자가 이동 중일 때 반드시 정지해야 합니다
- 횡단보도, 통로 교차지점에서는 보행자 유무를 확인하고, 무단횡단을 피하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 보행자 또한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형광 조끼 등 고시인성 복장을 착용해야 하며, 지정된 통로 외 통행을 금지해야 합니다
3. 제한속도 및 운행 규칙 준수
- 공장 내 차량은 시속 5~10km 이하로 저속 운행해야 하며, 속도제한 표지판 설치와 규정 준수 여부를 수시로 점검해야 합니다
- 급출발, 급정지, 급회전은 피해야 하며, 도로 폭이 좁은 구간에서는 앞지르기를 원칙적으로 금지해야 합니다
- 차량은 정해진 차선을 따라 이동하며, 일방통행 구역에서는 절대 역주행해서는 안 됩니다
4. 운행 중 휴대폰 등 전자기기 사용 금지
- 운전자는 운행 중 휴대폰, 무전기, 태블릿 등 전자기기의 조작을 금지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안전한 장소에 정차한 뒤
사용해야 합니다
- 보행자 역시 스마트폰 화면 주시, 이어폰 착용 등으로 인해 주변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5. 사각지대 및 후진 안전 확보
- 공장 내 골목, 적재물, 설비로 인한 사각지대는 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므로 반사경, 감시 카메라, 경광등 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 지게차나 트럭이 후진할 경우 후방 경보음이 작동되어야 하며, 사각지대에서는 반드시 신호수의 유도 하에 운행해야 합니다
6. 적재물 낙하 및 돌출 방지
- 적재물이 차량에서 낙하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 장치를 사용해야 하며, 차량의 적재 높이와 폭이 규정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돌출 자재가 있을 경우 형광천, 깃발, 반사띠 등으로 표시를 부착하고, 야간에는 점멸등을 사용해 시인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7. 소방시설 주변에는 주정차 금지
- 소화전, 비상차량 진입로, 방재 설비 등 소방시설 주변은 항상 비워두어야 하며, 어떠한 차량도 정차할 수 없습니다
- 해당 구역에는 금지 표시, 노란 선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정기적인 단속과 점검을 실시해야 합니다
8. 공정지역 진입 시 사전 허가 필요
- 공정지역, 생산설비 구역, 위험물 보관장소 등에는 차량 및 외부 인원의 무단 출입을 금지하며, 사전 허가 절차가 필요합니다
- 출입 목적, 경로, 시간 등을 명시한 허가증을 발급하고, 입출입 기록을 유지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9. 야간 및 악천후 운행 시 안전 조치
- 야간에는 모든 차량이 전조등과 후미등을 점등하고, 보행자는 식별 가능한 복장을 착용해야 합니다
- 비, 눈, 안개 등의 날씨에서는 속도를 낮추고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바닥 처리나 체인을 장착해야 하며, 조명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10. 운전자 자격 및 안전교육 이수
- 공장 내 차량은 반드시 해당 장비의 운전 자격을 보유한 인원만이 조작해야 하며, 신규 운전자는 사전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 정기적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무자격 운전이나 음주, 약물, 피로 상태의 운전을 철저히 금지해야 합니다
11. 신호수 및 경고장치 활용
- 대형 차량이 진입하거나 후진할 경우, 반드시 신호수를 배치하여 작업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해야 합니다
- 신호수는 밝은 조끼와 깃발을 착용하며 명확한 수신호를 제공해야 하고, 차량은 그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 후진경보음, 비상 경광등, 자동 정지 장치 등은 정상 작동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12. 교통안전 캠페인 및 현장 점검
- 정기적인 교통안전 캠페인을 통해 전 직원의 안전 인식을 높이고, 사고사례 전파 및 교육을 병행해야 합니다
- 바닥 표시, 속도제한 표지판, 반사경, 조명 장치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유지보수하고, 위험 구간은 구조적으로 개선해야
합니다
13. 비상상황 대응 절차 숙지
- 사고 발생 시 즉시 비상 연락망에 따라 보고하고, 인명 구조 및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비상 정지 버튼, 응급 출입구, 구급 장비 등의 위치를 모든 작업자가 숙지해야 하며, 정기적인 훈련도 병행해야 합니다
'안전,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발전기실에 방화댐퍼가 필요한 이유 (0) | 2025.06.25 |
---|---|
건강유해성의 정의와 주요 독성 분류 총정리 (0) | 2025.06.23 |
KC 인증 10mm 이상 안전로프의 기준과 사용법 (0) | 2025.06.23 |
지붕 작업 안전수칙 10가지 (0) | 2025.06.23 |
GHS란 무엇인가: 화학물질 분류 및 표시의 국제 기준 (0) | 202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