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건계약과 단가계약 비교
기업이나 기관이 공사 또는 구매를 진행할 때, 계약 방식은 크게 단건계약과 단가계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방식은 계약의 목적, 기간, 금액 설정 방식 등에 따라 장단점이 뚜렷하게 구분됩니다.
■ 단건계약 (건별 계약)
1. 정의
- 공사나 자재 구매가 발생할 때마다 별도로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2. 특징
- 계약 단위: 공사나 구매 건별로 계약 진행
- 금액 확정 시점: 매 건 계약 시점에 금액 협의
- 변동성: 시장 상황, 자재비, 환율 등에 따라 단가 변동 가능성이 큼
- 경쟁 입찰: 건마다 경쟁 입찰이 이루어질 수 있음
- 급격한 원가 상승 시, 다수 업체가 동시에 가격 인상을 요청할 수 있고, 이 경우 발주처는 인상된 가격으로 발주할 수밖에 없음
3. 장점
- 각 건에 대해 상황에 맞는 유연한 협의 가능
- 시장 단가를 실시간 반영 가능
4. 단점
- 건마다 계약이 필요해 업무 처리 부담
- 예산 예측이 어렵고, 가격 상승 리스크 큼
■ 단가계약 (기간 단가 계약)
1. 정의
- 특정 품목이나 공사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할 단가를 사전에 정하여 계약하는 방식입니다.
2. 특징
- 계약 기간: 보통 1년 또는 2년 단위
- 금액 확정 시점: 계약 체결 시 단가 확정
- 변동성: 계약 기간 동안에는 금액 변동 거의 없음
- 가격 조정: 계약 갱신 시(예: 1~2년마다) 시장 상황을 반영하여 단가 재조율 가능
- 공급 안정성: 계약 기간 내 반복 발주 가능하므로 공급 안정성 확보
3. 장점
- 예산 계획 수립 용이 (금액 변동성 작음)
- 업무 효율성 높음 (반복 발주 간편)
- 단가 협상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단가 통제 가능
4. 단점
- 계약 초기에 단가 설정이 높으면 손해 가능
- 계약 기간 중 시장 가격 하락 시 단가 조정 어려움
■ 마무리
단건계약은 유연한 협상과 실시간 단가 반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반복되는 업무와 가격 상승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반면 단가계약은 일정 기간 동안 안정적인 단가로 효율적인 구매가 가능하나, 시장 변화에 즉시 대응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두 계약방식의 특성을 고려해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매, 자재,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품질의 기준, 7R 원칙의 모든 것 (0) | 2025.07.17 |
---|---|
물류 효율을 높이는 3S, 1L 원칙의 이해 (0) | 2025.07.17 |
단건계약 또는 단가계약 시 신용등급과 현금흐름등급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 (0) | 2025.07.15 |
계약이행보증보험증권이란? 서울보증보험(SGI)과 함께 알아보기 (0) | 2025.07.14 |
임대차와 보관 위탁의 차이,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0)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