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T(Just In Time)의 장점과 한계, 물류 전략에 주는 시사점
■ 개요
적시성의 원칙에서 언급되는 JIT(Just In Time)는 재고를 최소화하면서 필요한 자재나 제품을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만큼만 공급하는 생산 및 물류 운영 방식입니다.
1. JIT(Just In Time)의 정의
JIT는 일본 도요타 자동차에서 시작된 생산 관리 기법으로, 공정 간의 재고를 최소화하고 낭비를 제거하기 위한 체계입니다.
핵심 개념은 필요한 것을, 필요한 만큼, 필요한 때에 정확히 공급하는 것입니다.
즉, 자재나 부품이 생산라인에 너무 일찍 도착해서 창고에 쌓이거나, 너무 늦게 도착해서 생산이 지연되지 않도록 조율하는 방식입니다. 물류 측면에서는 납기 정확성과 공급망 정밀 조정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2. JIT의 주요 특징
* 대규모 재고 보유 대신, 수요에 따라 필요한 양만 공급
* 리드타임 단축을 통한 생산 효율화
* 창고 공간 축소 및 보관비용 절감
* 공급자와의 정밀한 납기 관리와 협업 체계 필요
3. JIT의 장점
* 재고 유지 비용 절감
* 자재 회전율 증가
* 생산 흐름의 표준화 및 안정화
* 품질 문제 발생 시 즉시 식별 가능
4. JIT의 단점
* 공급 지연 시 즉각적인 생산 차질 발생 가능성
* 납기 이탈에 대한 공급망 의존도 증가
* 자연재해, 파업, 수송 장애 등 외부 변수에 취약
* 소량 다빈도 공급이므로 운송비 증가 가능성
5. 시사점
JIT는 적시성의 원칙을 극단적으로 구현한 방식으로,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추구하지만, 높은 정밀성과 공급 안정성이 전제되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공급자와의 협업 체계, 정확한 수요 예측, IT 기반 실시간 정보 시스템 등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물류 전략에 잘 통합해야 JIT 방식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구매, 자재,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물류는 어떻게 나뉘는가? 각 영역별 역할과 특징 (0) | 2025.07.17 |
---|---|
물류서비스 만족도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기대 vs 성과 (0) | 2025.07.17 |
물류관리의 핵심, 5대 운영 원칙 정리 (0) | 2025.07.17 |
로지스틱스(logistics)의 기원: 군사에서 산업까지 (0) | 2025.07.17 |
물류 품질의 기준, 7R 원칙의 모든 것 (0) | 202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