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제품이론 TOC(Theory of Constraints)의 개념과 적용 :: 전기, 계장 엔지니어

 

제품이론 TOC(Theory of Constraints)의 개념과 적용

 

 


1. TOC란 무엇인가

 

TOC는 Theory of Constraints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제약이론이라 합니다. 

이는 모든 시스템은 최소한 하나의 제약요소(Constraint)를 가지며, 그 제약요소가 전체 시스템의 성과를 결정한다는 전제에 기반한 관리이론입니다. 

 

TOC는 1980년대 엘리 골드렛(Eliyahu M. Goldratt)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특히 제조, 생산관리, 프로젝트관리, 물류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제품 생산 및 운영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많은 공정과 자원이 관여하며, 이 중 병목현상을 일으키는 제약요소가 생산 속도와 전체 수익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TOC는 이 제약요소를 식별하고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시스템의 흐름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TOC의 5단계 접근법

1) 제약의 식별(Identify the Constraint)

시스템의 흐름을 방해하는 병목지점이나 제약요소를 식별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기계의 처리능력이 다른 공정보다 낮거나, 특정 인력의 업무가 지연 요인이 되는 경우입니다.

 

 


2) 제약의 최대 활용(Exploit the Constraint)

해당 제약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합니다. 불필요한 가동 중단을 줄이고,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제약요소의 활용도를 극대화합니다.

 

 


3) 모든 것을 제약에 맞춘다(Subordinate Everything Else)

다른 모든 공정과 자원의 속도와 계획을 제약요소에 맞춥니다. 이는 전체 시스템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4) 제약을 해소한다(Elevate the Constraint)

만약 현재 제약을 더 이상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면, 설비 확장, 인력 증원, 자동화 등의 방법으로 제약을 제거하거나 완화하는 조치를 취합니다.

 

 


5) 경고: 자만하지 말 것(Go Back to Step 1)

한 제약을 해결하면 새로운 제약이 생기므로, 다시 1단계부터 시작해 지속적으로 개선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는 TOC의 순환적이고 지속적인 개선 철학을 반영합니다.

 

 

 

 


3. TOC의 적용 예시


예시 1) 제조현장의 병목 설비
한 공장에서 A-B-C 공정 순서로 제품을 제조하는데, B 공정의 기계가 시간당 50개만 처리 가능한 상황이라면 전체 생산 속도는 B 공정에 의해 제한됩니다. 이 경우 B 공정이 제약이며, TOC는 해당 설비의 가동시간을 늘리거나 정비를 최소화하여 처리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합니다.

예시 2) 프로젝트 일정 관리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특정 설계 부서의 업무가 지연되어 전체 일정에 영향을 준다면, 그 부서가 제약입니다. 해당 인력을 보강하거나, 병렬 작업을 허용해 속도를 높이는 것이 TOC의 접근 방식입니다.

예시 3) 유통 시스템
유통 회사에서 특정 지역 물류센터의 출고 처리량이 전체 배송 일정에 영향을 줄 경우, 그 물류센터가 제약입니다. 추가 인력 투입, 자동화 설비 도입, 출고 프로세스 단순화 등을 통해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4. TOC의 장점


* 시스템 전체의 흐름을 개선하는 데 집중
* 병목 설비 중심의 합리적인 자원 배분 가능
* 재고 감소, 납기 준수율 향상, 수익성 개선
* 단기적이면서도 실질적인 성과 도출 가능

 

 

 

 


5. TOC의 시사점

 

TOC는 단순한 생산관리기법이 아니라, 제약 중심의 사고방식을 통해 자원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하는 전략적 접근입니다. 기업은 TOC를 통해 제한된 자원 속에서도 최적의 성과를 내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으며, 복잡한 운영 환경 속에서도 핵심에 집중하는 사고방식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