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설비 수리 원가 절감 사례 – 내부 인력 활용 전략 :: 전기, 계장 엔지니어
반응형

 

설비 수리 원가 절감 사례 – 내부 인력 활용 전략

 

 


1.  개요


  -  설비 유지보수 작업은 일반적으로 외주업체에 의뢰하여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외주 수리를 통해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비용 부담이 발생하고 일정 관리가 필요합니다.

  -  그러나 일부 작업은 내부 인력이 직접 수행할 경우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내부 인력 활용 사례


  1)  저용량 MOTOR OVERHAUL
    -  소규모 모터의 점검 및 분해·조립 작업은 내부 기술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외주 의뢰 시 발생하는 인건비와 출장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 일정 조정이 용이합니다.

  2)  TRANSMITTER CALIBRATION(점검)
    -  계측기기인 TRANSMITTER의 정기 점검 및 교정을 내부 기술자가 수행하면, 외주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현장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또한 즉시 문제를 발견하고 조치할 수 있어 유지보수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부속품 교체
    -  소모품이나 단순 부속품 교체 작업도 내부 인력이 수행 가능하며, 외주를 통한 비용과 시간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  장점


  -  원가 절감: 외주 비용을 줄이고, 불필요한 예산 지출 방지
  -  작업 효율성 향상: 일정 조정이 자유롭고, 즉시 대응 가능
  -  기술력 향상: 내부 인력이 설비 특성과 문제점을 직접 경험하여 기술력 강화

 

 


4.  결론


  -  설비 수리 작업 중 일부는 외주 의뢰 대신 내부 인력이 직접 수행할 경우, 비용과 시간을 동시에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저용량 모터 오버홀, 트랜스미터 점검, 부속품 교체와 같이 난이도가 비교적 낮은 작업은 내부 인력 활용을 적극 검토하여

     설비 유지보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참고 사항

 

  -  다만, 외주업체에서 수행하던 작업을 내부 인력이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내부 작업자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어떤 작업을 내부에서 수행할 수 있는지 명확히 정해야 합니다.
  -  작업 난이도, 안전성, 필요 장비, 기술 숙련도 등을 고려하여 내부 인력이 담당할 수 있는 범위를 사전에 정의함으로써,

     작업 효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