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일제경보방식 대신 교차회로 방식 도입으로 화재감지기 오작동 최소화 :: 전기, 계장 엔지니어
반응형

 

일제경보방식 대신 교차회로 방식 도입으로 화재감지기 오작동 최소화

 

 

 


1.  개요


  -  화재감지기는 초기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경보를 발령하거나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핵심 장치입니다.

  -  감지기의 동작 방식에 따라 설비의 신뢰성과 불필요한 오작동 발생 여부가 달라집니다.

  -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일제경보방식과 교차회로방식이 있습니다.

 

 


2.  일제경보방식


  1)  특징

    -  일제경보방식에서는 감지기 1개만 동작해도 즉시 전체 경보가 발령되거나 스프링클러, 가스계 소화설비 등

       관련 소화설비가 작동합니다.

  2)  장점
    -  초기 화재 대응에 유리하며, 빠른 설비 작동 가능

 

  3)  단점
    -  감지기 1개의 오작동만으로도 전체 설비가 작동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소화설비 가동 발생

 

 


3.  교차회로방식


  1)  특징

    -  교차회로방식은 동일 구역 내 설치된 감지기 중 2개 이상이 동시에 동작해야만 소화설비가 기동되도록 구성됩니다.

  2)  장점
    -  단일 감지기 오작동 시 불필요한 설비 작동 방지
   -  경보는 발령되지만 설비는 작동하지 않아 비용 및 안전 문제 최소화

 

  3)  단점
    -  초기 화재 감지 시 대응 속도가 다소 늦을 수 있음

 

 


4.  개선 사례


  -  기존의 일제경보방식을 교차회로방식으로 변경한 사례에서는, 감지기 1개의 오작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소화설비 작동 문제가 해소되었습니다.

  -  이로 인해 설비 운영 안정성이 향상되고, 불필요한 소화 설비 작동으로 인한 비용과 위험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5.  결론


  -  화재감지기 동작 방식을 교차회로방식으로 개선하면, 초기 화재 대응 능력을 유지하면서도 단일 감지기 오작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설비 작동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이는 설비 신뢰성과 운영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