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계전기 정의,구성 그리고 종류
1. 보호계전기의 정의 및 목적
1) 정의
보호계전기는 전력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이나 이상 상태를 빠르게 감지하여 전력 설비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전자 기기입니다. 이 기기는 전력망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설비의 수명을 연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목적
전력 시스템에서 고장이나 이상 상태가 발생했을 때,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추가적인 피해를 막고 시스템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전력 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사고 범위를 최소화하여 전력의 연속적인 공급을 보장합니다.
2. 보호계전 시스템의 주요 기능과 구성요소
1) 정확성: 고장 및 이상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시스템을 보호하는 기능.
2) 신뢰성: 전력 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조건 하에서도 일관되게 작동하며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
3) 선택성: 고장이 발생한 구역만 차단하고, 나머지 부분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3. 구성
1) 동작부
- 동작부는 보호계전기가 고장 신호를 감지한 후 보호 동작을 실행하는 부분으로, 차단기가 대표적인 동작부입니다.
- 차단기는 고장 감지 후 해당 구역의 전력을 차단하여 시스템 보호 역할을 합니다.
2) 검출부
- 검출부는 시스템의 이상 상태나 고장을 감지하는 장치로 계기용 변류기, 계기용 변압기가 해당됩니다.
- 계기용 변류기는 전류를 감지하고, 계기용 변압기는 전압을 감지하여 고장 신호를 전달합니다.
3) Relay (계전기)
- Relay는 고장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적 장치입니다.
- Relay는 전력 시스템에서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보호계전기에서 설정한 조건에 따라 차단기를 작동시킵니다.
4. 보호계전기의 필수 조건
1) 사고범위의 제한 및 전력 공급 확보
- 보호계전기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고장 구역을 빠르게 제한하여 나머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고 발생 후에도 빠르게 전력 공급을 회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보호의 중복과 협조
- 보호계전기들은 상호 중복 보호 기능을 갖추어야 하며, 하나의 보호계전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계전기가 대신
작동할 수 있도록 협조 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3) 후비보호 기능
- 주 보호계전기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후비보호 계전기를 마련해두어 사고 발생 시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계전기 종류 및 번호
1) 과전류계전기 (Overcurrent Relay, 過電流繼電器)
- 계전기 번호: 51
- 과전류가 흐를 경우 동작하여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과도한 전류가 흐르면 즉시 전력 공급을 차단합니다.
2) 과전압계전기 (Overvoltage Relay, 過電壓繼電器)
- 계전기 번호: 59
-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전압이 감지되면 즉시 차단하여 전력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3) 부족전압계전기 (Undervoltage Relay, 不足電壓繼電器)
- 계전기 번호: 27
- 전압이 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동작하여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4) 부족전류계전기 (Undercurrent Relay, 不足電流繼電器)
- 계전기 번호: 37
- 전류가 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시스템을 보호하여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전력을 차단합니다.
5) 방향계전기 (Direction Relay, 方向繼電器)
- 계전기 번호: 67
- 전류의 흐름 방향을 감지하여, 특정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만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6) 전압차동계전기 (Differential Voltage Relay, 電壓差動繼電器)
- 계전기 번호: 87
-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차이를 비교하여 전압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시스템을 차단합니다.
'전기, 계장 직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산 설비 대신 국산 설비를 사용하는 이유 (2) | 2025.01.11 |
---|---|
IP CLASS 해석과 적용: 설비 환경에 맞는 보호 등급 선택하기 (0) | 2025.01.11 |
차단기 종류별 특징과 장단점: GCB, VCB, OCB, ACB, VCS, MCCB (0) | 2025.01.10 |
GIS란 무엇인가? 주요 특징과 장단점, 설치 위치 소개 (0) | 2025.01.10 |
전기 요금 절감과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위한 조명 관리 방법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