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분진 환경에서 Level Switch 선택 기준: Paddle vs. Capacitance :: 전기, 계장 엔지니어

분진 환경에서 Level Switch 선택 기준: Paddle vs. Capacitance

 

 

 

 

1. Paddle Type Level Switch (회전형 레벨 스위치)

1) 구조 및 동작 원리
  - 모터가 회전자를 회전시키고, 물질이 감지되면 회전이 멈추면서 신호를 출력합니다.

 

2) 분진 환경에서의 문제점
  - 구동부가 노출되어 있어, 분진이 회전축(paddle shaft)이나 기어 부위에 끼거나 쌓일 수 있음.
  - 이로 인해 회전이 멈추지 않거나, 반대로 항상 멈춘 상태로 오작동하는 문제가 생김.
  - 특히 습기와 함께 분진이 섞이면 고착 현상 발생 가능.

3) 장점
  -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편.
  - 조정이 쉬움 (간단한 전기접점 제어).

 

 


2. Capacitance Type Level Switch (정전용량식)
1) 구조 및 동작 원리
  - 센서와 접지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Capacitance)을 이용해, 물질의 유무를 감지함.
  - 물질이 닿으면 정전용량 값이 바뀌고, 그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

2) 분진 환경에서의 장점
  - 구동부가 없고 고정형 센서이므로, 분진으로 인한 기계적 고장 가능성이 매우 낮음.
  - 밀폐된 구조가 많아 내환경성 우수 (특히 실링 처리된 제품).
  - 분진이 약간 쌓여도 감도 설정을 통해 무시하거나 필터링 가능.

3) 단점
  - 정전용량 특성상 물질의 유전율(dielectric constant)에 영향을 받음 → 재질에 따라 감도 조정 필요.
  - 비용이 paddle 타입보다 다소 높을 수 있음.

 

 

 

3. 비교표

 

 

 

4. 결론

  - 분진이 많은 환경(특히 건식 분체, 곡물, 시멘트 등)에서는 capacitance 방식이 더 적합하며,

    paddle 방식은 정기적인 청소 또는 방진 커버 같은 대책이 필요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