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직장 내 괴롭힘, 더 이상 참지 않아도 됩니다 :: 전기, 계장 엔지니어

 

직장 내 괴롭힘, 더 이상 참지 않아도 됩니다


직장이라는 공간은 우리가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는 곳이자, 인생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공간입니다. 하지만 그 공간이 괴롭고, 고통스럽고, 나를 존중하지 않는 곳이라면 어떨까요?
‘직장 내 괴롭힘’은 단지 기분 나쁜 한두 마디가 아닌,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직장 내 괴롭힘이란?
‘직장 내 괴롭힘’은 2019년 7월 16일부터 「근로기준법」에 따라 명확하게 법적으로 금지되었습니다.
지위나 관계의 우위를 이용해 업무상 적정 범위를 넘는 언행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단순히 상사의 지시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로 괴롭힘이라고 판단하긴 어렵지만, 그 지시가 반복적이며, 불합리하고, 인격을 무시하는 수준이라면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것도 직장 내 괴롭힘일까?
아래는 실제 업무 현장에서 흔히 일어나는 괴롭힘 사례 3가지입니다. 여러분의 상황과 겹치지 않나요?

예시 1. 업무 외 사적 지시 – 나는 직원이지, 비서가 아닙니다
김 대리는 퇴근 후에도 팀장에게 연락이 끊이질 않습니다.
“우리 애 영어 숙제 좀 봐줘요.”
“이사 가려는데 집 알아봐 줄 수 있지?”
“이번 휴가 때 괜찮은 제주도 펜션 좀 찾아줘요.”

일이 아닙니다.
업무와 무관한 개인적인 심부름을 반복적으로 강요받는 건 명백한 괴롭힘입니다.
심지어 거절하면 “협동심이 없다”, “요즘 애들 진짜 싸가지 없다”는 식으로 몰아붙이는 경우도 많죠.

 


예시 2. 조직 내 고립 – 투명인간 취급당하는 나
정 과장은 최근 팀 회의에서 한마디도 하지 않았습니다.
아니, 그 전에 회의 초대 메일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업무 전달도 받지 못하고, 같은 부서원들이 사용하는 메신저 방에서도 제외되어 있죠.
점심 식사도 혼자, 회식 자리엔 “너는 빠져도 돼”라는 말로 따돌림을 당합니다.

이처럼 고의적으로 의사소통에서 배제하고 소외감을 조성하는 행위는 직장 내 괴롭힘의 대표적인 유형입니다.
무언의 압박은 언어폭력 못지않은 고통을 줍니다.

 




예시 3. 공개적인 모욕과 언어폭력 – 이건 훈계가 아닙니다
이 대리는 팀장이 있는 자리에서 문서 실수를 지적받았습니다.
그 자리엔 거래처 직원도 있었죠.
“이걸 사람이야? 바보냐?”
“너 같은 XX는 회사 말아먹을 애야.”

단지 한 번의 말실수가 아니었습니다. 매주 반복되는 인격 모독. 동료들 앞에서 조롱, 수치심, 그리고 고개 숙인 채 퇴근하는 날들이 이어졌습니다.

이는 단순한 ‘엄한 말’이 아닌 인격을 짓밟는 모욕이며, 명백한 정신적 괴롭힘입니다.

 

 


괴롭힘에 맞서는 방법 –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① 기록을 남기세요
시간, 장소, 내용, 증인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합니다. 이메일, 메신저, 문자도 증거가 됩니다.

② 내부 신고 절차를 활용하세요
인사팀이나 직장 내 괴롭힘 전담 부서에 정식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③ 외부 기관에 도움 요청하세요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직장 내 괴롭힘 신고센터 등을 통해 상담과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④ 주변 동료에게 도움을 요청하세요
괴롭힘을 묵인하거나 방관하지 마세요. 용기 있는 증언이 피해자를 지킬 수 있습니다.

 

 


마치며 – 건강한 직장은 존중에서 시작됩니다
모든 사람이 존중받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
그것이 개인의 권리를 지키는 일이고, 결국 조직의 성장을 이끄는 길입니다.

직장 내 괴롭힘은 작은 문제가 아닌 구조적인 폭력이며,
그에 맞서기 위한 목소리는 결코 작지 않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는 조용히 참고 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이제는 참지 않아도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