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재해 재발방지계획 예시 :: 전기, 계장 엔지니어

 

재해 재발방지계획 예시

 

 


1. 개요

2025년 6월 15일, 당사 A공장에서 발생한 작업자 넘어짐 사고는 작업장 내 바닥 미정비, 보호구 미착용, 작업자 주의 부족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유사 재해의 재발을 방지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재발방지계획을 수립합니다

 

 

 

 


2. 사고 내용

1) 재해 일시: 2025년 6월 15일 10:30
2) 발생 장소: A공장 조립라인 2호기 구역
3) 피해 내용: 작업자 B씨가 기름 유출된 작업 구역에서 미끄러져 넘어져 좌측 발목 골절
4) 즉시조치: 응급조치 후 병원 이송, 작업 구역 일시 폐쇄 및 바닥 정리

 

 

 

 


3. 원인 분석

1) 직접 원인: 바닥면에 누유(기름) 상태가 있었음에도 조치 없이 작업이 진행됨

 

2) 간접 원인
  (1) 바닥 상태에 대한 사전 점검 미흡
  (2) 작업자 보호구(미끄럼 방지 안전화) 미착용
  (3) 작업 전 위험요인 설명 및 교육 미실시
  (4) 바닥 청소 및 유해물질 누출 대응체계 미비

 

 

 

 


4. 재발방지대책

1) 작업환경 개선 조치
  (1) 기름 유출 방지용 트레이 설치
  (2) 바닥 청결 유지 및 미끄럼 방지 코팅 보수
  (3) 고정 청소 시간 지정 및 누유 발생 시 즉시 보고 체계 강화

 

2) 보호구 착용 강화
  (1)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춘 안전화 지급 대상 확대
  (2) 작업 전 보호구 착용 점검 담당자 지정
  (3) 보호구 미착용 시 작업중지 및 경고조치

3) 작업자 교육 및 의식 개선
  (1) 유사 사고 사례 중심의 안전교육 매월 1회 실시
  (2) 신규 작업자에 대한 작업 전 위험요소 교육 필수 이수
  (3) 교육 이수자 명단 및 수료 기록 관리

3) 안전관리체계 정비
  (1) 작업 전 ‘위험요소 점검표’ 작성 의무화
  (2) 주간 안전점검에 ‘바닥 상태’ 항목 신설
  (3) 비상시 대응 시나리오 교육 및 모의훈련 반기 1회 실시

 

 

 

 


5. 후속 조치 및 성과관리

1) 향후 3개월간 사고 발생 구역에 대해 주간 점검 및 보고서 제출
2) 유사 사고 발생 여부 및 예방조치 이행 여부에 대한 사내 감사팀 점검
3) 2025년 연말 안전성과지표(Safety KPI)에 본 사고 항목 반영

 

 

 

 


6. 결론

이번 사고는 단순 부주의의 문제가 아니라, 사전 위험예방 체계와 작업자 인식 모두에 결함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본 재발방지계획을 통해 사고 예방 역량을 제고하고, 전사적인 안전문화 정착을 촉진할 것입니다. 

각 부서는 계획에 따라 즉시 조치사항을 시행하고,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실행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