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 사고를 막는 환경조건, 이것만은 꼭 지켜야 합니다
1. 온도 조건
- 표준 사용 온도 범위: 일반 전기기기는 보통 -10℃ ~ 40℃ 사이의 온도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됩니다.
- 고온/저온 환경에서는 특수 설계된 전기기기 또는 방열/단열 조치가 필요합니다.
- 내부 발열 기기(예: 변압기, 모터)는 통풍 또는 냉각 설비가 중요합니다.
2. 습도 조건
- 상대습도 45~85% 이하 유지 권장
(결로 발생 시 누전 및 절연파괴 위험 있음)
- 고습 환경에서는 방수형(IP등급)이 높은 기기를 사용하거나, 제습기/배기 시스템 설치 필요
- 특히 장마철, 겨울철 온도차로 인한 결로 주의
3. 먼지 및 오염
- 먼지, 기름, 화학가스 등은 절연성 저하 및 발열 유발
- 분진 많은 환경(예: 공장, 목공소)에서는 밀폐형 또는 방진형(IP5X 이상) 제품 사용
- 정기적인 청소 및 유지보수로 전기화재 예방 가능
4. 통풍 및 환기
- 전기기기는 발열을 수반하기 때문에 충분한 통풍 공간 확보가 필수
- 환기가 안 되면 열이 누적되어 화재 위험 증가
- 배전반, 전기실 등은 팬, 에어벤트, 에어컨 등 설치 필요
5. 진동 및 충격
- 모터, 발전기 등은 진동에 민감함
- 기초 단단히 시공, 진동 흡수 장치 사용 권장
- 지진 지역에서는 내진설계된 전기기기 선택 필요
6. 설치 장소 및 접근성
- 비, 눈, 직사광선 차단되는 장소에 설치
- 어린이 접근 제한, 작업자 접근 용이한 위치 확보
- 전기기기 간 간격 확보로 발열 방지 및 유지보수 공간 마련
7. 전자파 및 정전기
- 민감한 전자기기는 EMI 차폐 설계 필요
- 고전압기기와 저전압기기 간 거리 확보
- 정전기 발생 방지를 위한 접지 및 절연재 선택 중요
8. 방수 및 방폭 조건 (특수환경)
- 습기, 물기 많은 곳 (욕실, 세척 공정 등) : IPX4 이상, 방수형 전기기기 사용
- 가연성 가스 존재 장소 (화학공장, 정유소 등) : 방폭형(Ex) 인증 전기기기 사용
- 야외 : 방수, 방진(IP65 이상), 내자외선 재질 권장
9. 접지 및 누전 보호
- 모든 전기기기는 적절한 접지를 통해 감전사고 방지
- 누전차단기(ELCB), 누전경보기(ZCT 등) 설치로 보호 강화
- 접지 저항은 일반적으로 100Ω 이하, 중요 기기는 10Ω 이하 유지
10. 정기점검 및 유지보수 가능성
- 환경이 아무리 좋아도, 정기적인 점검이 없으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
- 열화된 전선, 녹슨 단자, 느슨한 결선 등은 조기 발견 필요
- 점검기록은 전기안전관리자의 의무 사항임
11. 결론
전기기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단순히 '기기 사양'만 보는 것이 아니라, 설치 환경과 조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온도, 습도, 먼지, 통풍, 진동, 방수, 접지 등 환경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기기 수명 단축은 물론 화재나 감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기안전관리자, 설비 관리자, 현장 작업자 모두가 기본적인 환경조건을 이해하고 유지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전기, 계장 직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뢰기(LA)와 서지 억제기(SA)의 차이점 완전 정리 (0) | 2025.06.08 |
---|---|
EARTH LEAK DETECTOR란? – 누전 사고를 미리 알려주는 조용한 감시자 (0) | 2025.06.06 |
Auto Transfer Switch(ATS)란? – 정전 시 자동으로 전원을 절체해주는 장치 (0) | 2025.06.06 |
ZCT란 무엇인가? – 누전 감지를 위한 핵심 장비 (0) | 2025.06.06 |
차압식 유량계에서 Seal Pot의 역할 완전 정리 (0) | 2025.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