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마케팅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5가지 가격 전략 :: 전기, 계장 엔지니어

마케팅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5가지 가격 전략

 

 

 

■ 주요 가격 전략 5가지: 원가에서 감성까지 고려하는 가격 설정 방식

제품 또는 서비스를 시장에 내놓을 때, 가격은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입니다. 

가격 전략은 단순한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시장의 반응과 기업의 수익성, 브랜드 이미지까지 결정짓는 종합적 판단의 결과입니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가격 전략 5가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1. 원가가산가격(Cost-Plus Pricing)


원가가산가격은 제품의 제조 원가에 일정 비율의 이윤을 더하여 가격을 산정하는 가장 전통적인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원가가 10,000원인 제품에 30%의 마진을 적용하면 최종 판매가격은 13,000원이 됩니다.

장점은 계산이 간단하고, 손익 관리가 명확하다는 점이며, 단점은 시장 수요나 경쟁 가격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수요가 적거나 가격 탄력성이 높은 시장에서는 비효율적인 가격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전략은 제품 차별성이 낮고, 수익성 확보가 우선시되는 대량 생산품에 주로 적용됩니다.

 

 


2. 경쟁기반가격(Competitive Pricing)


경쟁기반가격은 경쟁 업체의 가격을 기준으로 제품 가격을 설정하는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A사의 스마트폰이 100만 원에 판매된다면, 유사한 기능을 갖춘 B사는 95만 원 또는 동일한 100만 원에 가격을 책정하여 경쟁합니다.

경쟁기반가격은 시장에서의 위치를 고려하여 가격을 조정하는 데 유용하지만, 경쟁사에 과도하게 의존할 경우 수익성이 낮아질 위험도 있습니다.

이 전략은 제품 차별화가 크지 않고, 시장 점유율 확보가 중요한 소비재 시장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3. 심리적 가격(Psychological Pricing)


심리적 가격 전략은 소비자의 인식과 심리를 활용하여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9,900원, 19,800원처럼 ‘끝자리 9’를 사용하는 가격입니다. 소비자는 이를 10,000원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고가일수록 더 좋은 품질로 여기는 고가격 선호 심리나, 정가보다 할인된 가격을 강조해 심리적 이득을 제공하는 방식도 포함됩니다.

이 전략은 대형 유통업체, 전자상거래, 외식업 등 소비자 접점이 많은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4. 침투가격(Penetration Pricing)


침투가격 전략은 초기 시장 진입 시 낮은 가격을 설정하여 빠르게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려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신생 브랜드가 기존 경쟁사보다 20% 낮은 가격에 제품을 공급하면, 소비자는 시험 구매를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반복 구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침투가격 전략은 규모의 경제를 기반으로 장기적인 수익성을 기대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고객 충성도 형성과 입소문 확산에도 유리합니다.

단점은 초반에 수익성이 낮을 수 있고, 가격을 올릴 경우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5. 프리미엄 가격(Premium Pricing)


프리미엄 가격 전략은 제품이나 서비스에 고급 이미지, 독창성, 희소성 등을 부여하여 높은 가격을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전략은 단순히 고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 가치와 정체성을 고객에게 강하게 인식시키는 데 초점을 둡니다.

예를 들어

고급 시계, 명품 가방, 첨단 기능을 갖춘 가전제품 등이 해당됩니다. 고객은 고가를 지불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품질과 경험, 사회적 상징을 기대합니다.

프리미엄 전략은 마케팅, 유통, 서비스 전반에서 일관된 고급화를 요구하므로, 브랜드 관리와 이미지 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 종합 시사점


가격 전략은 단순히 숫자를 정하는 작업이 아니라, 시장 환경, 제품 특성, 소비자 심리, 기업의 전략적 목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결정입니다.

원가가산은 기업 내부 중심의 계산 방식이고, 경쟁기반은 외부 시장에 맞춘 전략이며, 심리적 가격은 소비자의 무의식적 선택을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침투가격은 빠른 확산을 목표로 하고, 프리미엄 가격은 고부가가치와 차별화를 추구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과 시장 특성에 맞는 가격 전략을 단일하게 적용하거나, 복합적으로 조합하여 시장 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