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3PL(Third Party Logistics)의 개념
3PL은 Third Party Logistics의 약자로, 제3자 물류를 의미합니다. 이는 화주기업(제품을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기업)이 자사의 물류 업무를 외부 물류 전문업체에 위탁하여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위탁되는 업무는 운송, 보관, 피킹, 포장, 재고관리 등 물리적인 물류 실행 전반을 포함합니다.
여기서 숫자 3은 물류의 이해관계자 구조에서의 제3자를 의미합니다.
- 1차 주체: 화주기업
- 2차 주체: 수하인(최종 고객)
- 3차 주체: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업체
예시
* 한 온라인 쇼핑몰이 자체 창고나 차량 없이 3PL 물류센터에 상품 입고부터 포장, 택배 출고까지 일괄 위탁
* 식품 제조업체가 전국 배송을 위해 운송을 3PL 업체에 맡기고, 자체 물류 인프라는 구축하지 않음
3PL은 일반적으로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물류 실행력을 중심으로 고객의 물류 부담을 줄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2. 4PL(Fourth Party Logistics)의 개념
4PL은 Fourth Party Logistics의 약자로, 제4자 물류 또는 통합 물류 운영 대행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 물류 수행이 아니라, 공급망 전체를 전략적으로 설계하고 여러 3PL을 조율하며, IT 시스템과 컨설팅까지 통합하는 고차원적인 물류 서비스입니다.
숫자 4는 공급망 구조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를 의미합니다.
- 1차 주체: 화주기업
- 2차 주체: 수하인
- 3차 주체: 물류 실행자(3PL)
- 4차 주체: 전체 물류 체계를 기획, 통합, 운영하는 전략 파트너(4PL)
4PL은 자산을 보유하지 않으며, 복수의 3PL, IT업체, 분석업체, 컨설팅 파트너 등과 협력하여 고객의 공급망을 최적화합니다.
예시
* 글로벌 기업이 아시아 지역의 물류를 전반적으로 위탁하면서 4PL 업체가 운송, 보관, 통관 등 세부 업무는
각각의 3PL에 맡기고, 전체 운영 전략과 비용관리, 정보시스템 연동을 총괄
* 한 유통기업이 물류센터 구축 없이, 4PL 업체를 통해 3PL 운영을 설계하고, TMS, WMS 등 물류 IT시스템까지 통합하여 운영
3. 3PL과 4PL의 비교
4. 시사점
숫자 3과 4는 단순한 서열이 아니라, 물류 주체의 역할 변화와 책임 범위의 확장을 나타냅니다. 3PL은 실행 중심의 물류 협력이고, 4PL은 전체 공급망을 최적화하고 관리하는 고차원 전략 파트너입니다.
기업은 내부 역량, 공급망 복잡성, 전략적 필요성에 따라 3PL 또는 4PL을 선택하며, 규모가 클수록 4PL 모델을 활용하여 복수의 3PL과 기술 파트너를 통합 운영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반면, 물류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초기에는 3PL 위탁을 통해 기본적인 물류 구조를 안정화시키고, 이후 4PL로 전환하여 통합 운영 역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구매, 자재,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기업의 물류 아웃소싱 개요와 장단점 (0) | 2025.07.20 |
---|---|
물류조직 형태: 분산형과 자회사형의 개념과 특징 (0) | 2025.07.19 |
운송 효율과 납기 정확도를 높이는 TMS(운송관리시스템) 전략 (0) | 2025.07.19 |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란? 창고관리시스템의 개념과 도입 효과 (0) | 2025.07.19 |
J.F. Robeson & W.C. Copacino의 물류계획 4단계 정리 (0) | 202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