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단기와 단로기의 기능 및 차이점 완벽 정리
1. 차단기(Circuit Breaker)의 기능 및 특징
- 차단기는 단순히 전류를 끊는 역할을 넘어, 아크 소호(Arc Quenching) 기능을 통해 차단 시 발생하는 전기 아크를
빠르게 소멸시켜 설비 손상과 화재를 방지합니다.
- 기종에 따라 저압, 고압, 초고압 차단기로 구분되며, 진공차단기(VCB), 가스차단기(GCB, SF6), 유입차단기(Oil CB)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됩니다.
- 자동 재폐로 기능을 갖춘 경우, 일시적인 고장(예: 낙뢰에 의한 순간 단락) 시 전력계통을 빠르게 복구할 수 있습니다.
- 발전소, 변전소, 공장 등 전력계통의 핵심 설비 보호에 반드시 사용되며, 계통 신뢰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Isolator)의 기능 및 특징
- 단로기는 기계적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대전류 차단 능력은 없지만 회로의 명확한 개방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차단기 앞뒤에 설치되어 점검 시 차단기의 양측 전원을 완전히 격리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 유지보수 작업자가 회로가 완전히 차단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안전 장치"의 성격이 강합니다.
- 부가적으로 접지용 단로기(Earthing Switch)를 함께 설치하여, 점검 시 전위를 0으로 낮춰 감전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3. 차단기와 단로기의 차이 정리
- 운전 측면
→ 차단기 : 전력계통 운전 중 발생하는 이상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
→ 단로기 : 정비나 점검 시 보조적으로만 사용됩니다.
- 차단 능력
→ 차단기 : 고장전류 및 부하전류 차단이 가능
→ 단로기 : 무부하 상태에서만 개폐가 가능합니다.
- 연동 여부
→ 차단기 : 보호계전기, 자동화 시스템과 연동되어 지능적으로 동작
→ 단로기 : 수동 조작 위주입니다.
- 안전성
→ 차단기 : 보호 장치
→ 단로기 : 작업 안전 확보 장치라는 점에서 본질적 목적이 다름
- 설치 위치
→ 차단기 : 전력계통의 주요 지점(발전소, 변전소, 공장 분전반 등)에 필수적으로 설치
→ 단로기 : 주로 차단기 주변이나 분기점에서 점검용으로 보조 설치됩니다.
'전기, 계장 직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전전류와 단락전류의 핵심 정리 (0) | 2025.08.30 |
---|---|
전력케이블 손실 종류 6가지에 대한 원리와 특징 정리 (0) | 2025.08.08 |
전기설비 절연열화 측정법 6가지 정리 (0) | 2025.08.08 |
Valve 신규 설치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8가지 (0) | 2025.06.20 |
속도제어를 위한 INVERTER 적용 사례 분석 (0)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