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충전전류 핵심 정리
- 송전선로나 전력 케이블이 가진 작용 정전용량 때문에 전압 인가 시 흐르는 전류입니다
- 정전용량 C의 성질로 전류가 전압보다 90도 앞서는 진상전류로 흐르며, 주로 무효전력 성분입니다
- 선로 길이와 계통 전압, 주파수(ω=2πf)가 클수록 Ic≈ωCV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장거리 선로에서 전압상승, 무효전력 과잉, 페란티 효과 등의 운전 이슈를 유발할 수 있어 보상 설비(리액터 등)나
운전전략으로 관리합니다
2. 단락전류 핵심 정리
- 절연 파괴나 도체 간 직접 접촉 등 단락사고 시 계통에서 순간적으로 흐르는 매우 큰 전류입니다
- 선로와 전원 측의 인덕턴스에 대응하는 리액턴스가 지배적이어서 전류가 전압보다 90도 뒤지는 지상전류 성분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크기는 전원 용량, 변압기·선로의 등가 임피던스, 단락 지점까지의 리액턴스에 의해 결정되며
정상 부하전류 대비 수십 배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열·기계적 응력을 크게 유발하므로 보호계전기와 차단기의 협조, 정격차단용량 산정, 기계적 강도와 접지 설계가 필수입니다
'전기, 계장 직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단기와 단로기의 기능 및 차이점 완벽 정리 (0) | 2025.08.30 |
---|---|
전력케이블 손실 종류 6가지에 대한 원리와 특징 정리 (0) | 2025.08.08 |
전기설비 절연열화 측정법 6가지 정리 (0) | 2025.08.08 |
Valve 신규 설치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8가지 (0) | 2025.06.20 |
속도제어를 위한 INVERTER 적용 사례 분석 (0)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