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duit pipe(전선 보호관) 재질, H.D.G와 PVC 적용 전력
1. 전선 보호관 재질 이원화 전략의 개요
1) 목적
- 기업의 플랜트 또는 시설 건설 시, 각 구역의 환경적 특성(부식 위험도)에 맞춰 전선 보호관(CONDUIT PIPE) 재질을
이원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안전성 확보, 내구성 강화, 경제성 실현의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입니다.
2) 적용 원칙
- 부식 위험이 높은 공정 구역에는 고내식성 자재를, 부식 위험이 낮은 비공정 구역에는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자재를
선택적으로 적용합니다.
2. 공정 지역 적용 재질: H.D.G의 필요성 및 역할
1) H.D.G (Hot Dip Galvanized Steel: 용융 아연 도금 강관) 적용
- 공정 지역은 화학 약품 노출, 고온, 습기, 증기 등 전선관의 부식을 유발하는 가혹한 환경적 요인이 상존합니다.
- H.D.G는 강관을 녹인 아연에 담가 표면에 두꺼운 아연 도금층(합금층)을 형성시키므로, 일반 도금 제품에 비해
월등히 높은 내식성(부식 저항성)을 가집니다.
2) 안전성 확보 기능
- 부식으로 인한 전선관 파손을 방지하여 내부 전선의 절연 파괴 위험을 근본적으로 차단합니다.
- 강관 재질 자체의 높은 기계적 강도로 외부 충격이나 압력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하여 안정적인 전력 공급 환경을 유지합니다.
3. 비공정 구역 적용 재질: PVC CONDUIT PIPE의 효율성 및 예외 사항
1) PVC CONDUIT PIPE (경질 비닐 전선관) 적용 및 이점
- 건물 내부, 사무실 구역 등 비공정 구역은 부식 인자가 적고 환경이 비교적 안정적이므로,
H.D.G의 높은 내식성이 불필요합니다.
- 이러한 구역에 PVC를 적용함으로써 경제성과 시공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자재비 절감: PVC 자재는 H.D.G 강관 대비 초기 구매 비용이 현저히 낮아 대규모 프로젝트의 총 자재비를 크게 절감합니다.
- 인건비 및 기간 단축: PVC는 시공 속도가 빠르고 인건비 절감 효과가 있으며, 작업 기간 단축으로 현장 안전 관리에도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2) 현장 상황에 따른 예외 적용
- 비록 비공정 구역으로 분류되더라도, 특정 구간(예: 잦은 물청소 구역, 지하 일부 구간, 진동 발생 구간)에서는
습기나 물리적 충격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국부적인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현장 담당자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해당 구간에 한해 H.D.G 재질을
선별적으로 적용하는 유연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4. 결론 및 종합적 효과
1) 이러한 선택적 이원화 전략은 부식 위험에 대한 기술적인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동시에, 자재 구매와 시공 효율을 높여
총 소요 비용(Total Cost)을 최적화하는 가장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입니다.
'전기, 계장 직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ABLE TRAY 두께 최적화 – 비용 절감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설계 전략 (0) | 2025.11.12 |
|---|---|
| CABLE TRAY 재질 선정 전략 – 비공정 구간에 H.D.G를 적용해 경제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방법 (0) | 2025.11.12 |
| 숨겨진 낭비를 잡아라 : VALVE 부속품 최적화로 달성한 4가지 원가 절감 사례 (0) | 2025.11.01 |
| 충전전류와 단락전류의 핵심 정리 (0) | 2025.08.30 |
| 차단기와 단로기의 기능 및 차이점 완벽 정리 (0) | 2025.08.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