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BLE TRAY 재질 선정 전략 – 비공정 구간에 H.D.G를 적용해 경제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방법
1. 경제성을 고려한 재질 선택의 필요성
- 플랜트나 공장 내 CABLE TRAY는 설치 구간에 따라 부식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구간에 동일한 재질을 적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 특히 비공정 구간(Non-process Area)은 부식 요인이 적은 환경이므로, 스테인리스(SUS) 대신 용융아연도금
(H.D.G, Hot Dip Galvanized) 재질을 적용하면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
- H.D.G는 일정 수준의 내식성을 확보하면서도 비용이 낮아, 전체 설비 공사비 절감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는 재질입니다.
따라서 환경별로 재질을 구분 적용하는 전략은 내식성과 경제성의 균형을 맞추는 핵심적인 설계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CABLE TRAY의 역할과 중요성
- CABLE TRAY는 공장이나 플랜트 내에서 전선 및 제어 케이블을 보호하고 정리하는 구조물입니다. 전력, 계장, 통신 케이블이
복잡하게 배치된 환경에서 케이블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외부 충격이나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이 때문에 CABLE TRAY는 단순한 지지 구조물이 아니라, 설비의 신뢰성과 유지보수 효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로
평가됩니다.
3. 환경에 따른 부식 위험도 구분
- 공정(Process) 구간 : 화학물질 증기, 산성 가스, 수분, 고온 등 부식 인자가 많은 구역
- 비공정(Non-process) 구간 : 제어실, 케이블 터널, 실내 등 부식 인자가 거의 없는 구역
이처럼 구역별 부식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구간에 SUS를 일괄 적용하는 것은 과도한 비용 지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비공정 구간 – H.D.G(Hot Dip Galvanized) 적용의 장점
- 장점: 일정 수준의 내식성과 높은 경제성 확보
- 특징: 철재 표면에 아연층을 형성하여 산화나 녹을 방지
- 주요 적용 위치: 제어실, 실내 케이블 덕트, 케이블 터널, MCC ROOM 등
- H.D.G는 SUS 대비 약 30~50% 수준의 자재비로 동일한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시공성과 가공성도 우수합니다.
5. 공정 구간 – SUS(스테인리스) 적용의 필요성
- 장점: 부식, 고온, 습도 환경에서도 장기간 변형 없이 사용 가능
- 주요 적용 위치: 공정 배관 주변, 외부 노출 구간, 화학물질 저장소 인근 등
- SUS는 초기 설치비용이 높지만, 부식으로 인한 교체 주기가 길어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6. 재질 이원화 적용의 효과
- 내식성과 경제성의 균형 확보
- 불필요한 자재비 절감
- 장기적인 유지보수 비용 감소
- 환경별 맞춤 설계로 설비 신뢰성 향상
- 이러한 전략은 단순한 자재 절감이 아닌, 플랜트의 전체 생애주기 비용(LCC)을 줄이는 효율적 설계 접근법입니다.
7. 결론
- CABLE TRAY 재질을 구간별로 구분 적용하는 것은 플랜트 설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핵심 전략입니다.
- 특히 비공정 구간에 H.D.G를 적용하면 내식성은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자재비 절감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습니다.
- 반면, 공정 구간에는 SUS를 적용하여 부식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함으로써 전체 설비의 안정성과 수명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이처럼 환경 조건에 따라 재질을 구분 적용하는 설계는 안전성과 경제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의 선택입니다.
'전기, 계장 직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설비 설치 위치 선정 – 유지보수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고려한 설계 전략 (0) | 2025.11.12 |
|---|---|
| CABLE TRAY 두께 최적화 – 비용 절감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설계 전략 (0) | 2025.11.12 |
| Conduit pipe(전선 보호관) 재질, H.D.G와 PVC 적용 전력 (0) | 2025.11.10 |
| 숨겨진 낭비를 잡아라 : VALVE 부속품 최적화로 달성한 4가지 원가 절감 사례 (0) | 2025.11.01 |
| 충전전류와 단락전류의 핵심 정리 (0) | 2025.08.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