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가치, 교체가치, 공정시장가치의 차이 완전 정리
1. 청산가치 (Liquidation Value)
1) 정의
- 기업이 자산을 급히 매각해야 하는 상황에서 회수 가능한 현금 기준 가치를 의미함
2) 특징
- 강제 매각 또는 비자발적 처분을 전제로 하며, 시장에서 정상적인 가격을 받지 못하는 조건을 가정함
- 자산별로 개별 평가되며, 시장에서의 실현 가능 가격보다 낮은 수준으로 산정되는 경우가 일반적임
- 감정평가 시에는 기계, 재고, 설비 등이 빠르게 처분될 경우를 가정하여 평가함
3) 사용사례
- 기업 파산, 회생절차, 채권 회수 등에서 최소 회수 가능 자산 가치 산정
- 금융기관의 담보 평가, 강제집행 시의 기준금액 판단 등
2. 교체가치 (Replacement Cost)
1) 정의
- 기존 자산과 동일한 용도와 성능을 갖춘 신품을 현재 시점에서 새로 구입하는 데 드는 비용을 의미함
2) 특징
- 감가상각을 고려하지 않고, 현재 기준으로 유사 자산을 새로 도입하는 비용을 기준으로 평가함
- 자산의 실제 상태와 무관하게,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산의 최신 취득 비용을 반영함
- 물가 상승, 환율 변동, 기술 발전 등도 교체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음
3) 사용사례
- 설비 재구축 비용 추정, 공공시설 자산 평가
- 보험 가입 시, 사고 발생 후 복구 비용 산출 기준
- 자산관리 시스템에서의 장기 예산 계획 수립 등
3. 공정시장가치 (Fair Market Value)
1) 정의
- 충분한 정보와 의사를 가진 매수자와 매도자 간 자유로운 환경에서 형성된 자산의 시장 거래 가격을 의미함
2) 특징
- 거래 당사자가 비강제적 조건 하에 합리적인 협상을 통해 결정한 가격
- 정상적인 시장 환경에서, 자산의 시장 경쟁력을 반영한 현실적 가치
- 가격 왜곡이 없는 상황에서 형성되며, 가장 보편적이고 표준적인 가치 기준으로 활용됨
3) 사용사례
- 기업 인수합병, 투자 유치, 지분 평가
- 세무 평가(증여세, 상속세 등), 회계보고(IFRS, GAAP 등)
- 자산 매각, 손상평가, 공정가치 측정 등
4. 비교 요약
'구매, 자재,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M/H, M/D 단가로 보는 인당 BASE 견적 방식 (0) | 2025.06.25 |
---|---|
물량 BASE 견적서 작성법과 유의사항 총정리 (예시 포함) (0) | 2025.06.25 |
감가상각비와 대손상각비, 회계 처리의 핵심 차이 (0) | 2025.06.24 |
항만 물류 현장에서 말하는 ‘채선이 걸린다’는 무슨 뜻인가 (예시 5가지) (0) | 2025.06.24 |
공사비 계산할 때 꼭 알아야 할 11가지 항목 (0)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