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청산가치, 교체가치, 공정시장가치의 차이 완전 정리 :: 전기, 계장 엔지니어

 

청산가치, 교체가치, 공정시장가치의 차이 완전 정리

 



1. 청산가치 (Liquidation Value)

1) 정의

 

  - 기업이 자산을 급히 매각해야 하는 상황에서 회수 가능한 현금 기준 가치를 의미함

 

 

 

2) 특징

 

  - 강제 매각 또는 비자발적 처분을 전제로 하며, 시장에서 정상적인 가격을 받지 못하는 조건을 가정함
  - 자산별로 개별 평가되며, 시장에서의 실현 가능 가격보다 낮은 수준으로 산정되는 경우가 일반적임
  - 감정평가 시에는 기계, 재고, 설비 등이 빠르게 처분될 경우를 가정하여 평가함

 

 

 

3) 사용사례

 

  - 기업 파산, 회생절차, 채권 회수 등에서 최소 회수 가능 자산 가치 산정
  - 금융기관의 담보 평가, 강제집행 시의 기준금액 판단 등

 

 

 

 


2. 교체가치 (Replacement Cost)

1) 정의

 

  - 기존 자산과 동일한 용도와 성능을 갖춘 신품을 현재 시점에서 새로 구입하는 데 드는 비용을 의미함

 

 

 

2) 특징

 

  - 감가상각을 고려하지 않고, 현재 기준으로 유사 자산을 새로 도입하는 비용을 기준으로 평가함
  - 자산의 실제 상태와 무관하게,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산의 최신 취득 비용을 반영함
  - 물가 상승, 환율 변동, 기술 발전 등도 교체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음

 

 

 

3) 사용사례

 

  - 설비 재구축 비용 추정, 공공시설 자산 평가
  - 보험 가입 시, 사고 발생 후 복구 비용 산출 기준
  - 자산관리 시스템에서의 장기 예산 계획 수립 등

 

 

 

 


3. 공정시장가치 (Fair Market Value)

1) 정의

 

  - 충분한 정보와 의사를 가진 매수자와 매도자 간 자유로운 환경에서 형성된 자산의 시장 거래 가격을 의미함

 

 

 

2) 특징

 

  - 거래 당사자가 비강제적 조건 하에 합리적인 협상을 통해 결정한 가격
  - 정상적인 시장 환경에서, 자산의 시장 경쟁력을 반영한 현실적 가치
  -  가격 왜곡이 없는 상황에서 형성되며, 가장 보편적이고 표준적인 가치 기준으로 활용됨

 

 

 

3) 사용사례

 

  - 기업 인수합병, 투자 유치, 지분 평가
  - 세무 평가(증여세, 상속세 등), 회계보고(IFRS, GAAP 등)
  - 자산 매각, 손상평가, 공정가치 측정 등

 

 

 

 


4. 비교 요약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