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H, M/D 단가로 보는 인당 BASE 견적 방식
1. 인당 BASE 견적서란
1) 인당 BASE 견적서는 공사나 작업에 투입되는 인력 기준(M/H 또는 M/D)으로 단가를 산정하고, 투입 인원과 작업 시간
(또는 일수)을 곱하여 총비용을 계산하는 견적 방식입니다
2) 정비, 유지보수, 시운전, 긴급 보수 등 사전 물량 산정이 어려운 공정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2. 단가 구성 요소
1) 인건비: 작업자 1명의 시간당 또는 일당 인건비 (M/H 또는 M/D)
2) 간접비: 관리비, 안전비, 복리후생비 등
3) 제경비: 보험료, 출장비, 공구 사용료 등
4) 일반적으로 인건비 중심으로 단가가 형성되며, 자재나 장비비는 별도로 정산하거나 포함 여부를 명시합니다
3. 예시 견적 항목
4. 해설
1) 단위: 인·일은 M/D (1명 × 1일 기준)
2) 수량: 작업 기간
3) 투입 인원: 실제 참여 인력 수
4) 단가: M/D 기준 단가로, 인력 수준과 작업 난이도에 따라 다름
5) 금액: 작업일수 × 투입 인원 × M/D 단가
5. 특징
1) 작업 물량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유연한 비용 산정 가능
2) 정비/점검 중심 작업에 적합
3) 투입 인력의 수, 작업 일수, 단가가 비교적 명확하여 계산이 간편함
6. 유의사항
1) 단가(M/H 또는 M/D)는 작업 난이도, 기술 수준, 작업 환경 등을 반영해 산정해야 함
2) 발주처 입장에서는 작업자의 능력 차이로 인해 작업일수가 증가해도 추가 비용 타당성을 판단하기 어려움
3) 인력 효율성이 낮을 경우 비용이 급증할 수 있으므로, 작업 진척률과 실적 관리가 병행되어야 함
4) 단가와 투입 조건을 명확히 계약서 또는 견적서에 기재하지 않으면 분쟁의 소지가 있음
5) 특히 작업 초기에 인원 투입 계획과 예상 일정을 발주처와 충분히 조율해야 하며, 작업 범위 확대 시
단가 기준의 재확인 절차가 필요함
7. 결론
- 인당 BASE 견적서는 정해진 작업 물량이 없거나 작업 일정이 유동적인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 M/H 또는 M/D 기준으로 단가를 정하여 인력 투입량에 따라 비용을 정산하므로, 계산은 단순하지만 작업 효율과 투입 통제의
중요성이 큽니다.
- 초기 단가 산정과 인력 계획 수립이 정확할수록 계약 이행의 투명성과 비용 적정성이 확보됩니다.
https://engineer125.tistory.com/497
물량 BASE 견적서 작성법과 유의사항 총정리 (예시 포함)
물량 BASE 견적서 작성법과 유의사항 총정리 (예시 포함) 1. 물량 BASE 견적서란 1) 물량 BASE 견적서는 공사나 작업의 범위를 물량 단위(예: m, EA, 톤 등)로 구분하고, 단가를 곱해 총비용을 산정하는
engineer125.tistory.com
'구매, 자재, 물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밀유지서약서란? 계약서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이유 (0) | 2025.06.28 |
---|---|
정량적 평가 vs 정성적 평가, 어떻게 다를까? (0) | 2025.06.27 |
물량 BASE 견적서 작성법과 유의사항 총정리 (예시 포함) (0) | 2025.06.25 |
청산가치, 교체가치, 공정시장가치의 차이 완전 정리 (0) | 2025.06.24 |
감가상각비와 대손상각비, 회계 처리의 핵심 차이 (0)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