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이지 광고 //인페이지광고 물량 BASE 견적서 작성법과 유의사항 총정리 (예시 포함) :: 전기, 계장 엔지니어

물량 BASE 견적서 작성법과 유의사항 총정리 (예시 포함)

 

 

 


1. 물량 BASE 견적서란

1) 물량 BASE 견적서는 공사나 작업의 범위를 물량 단위(예: m, EA, 톤 등)로 구분하고,

    단가를 곱해 총비용을 산정하는 방식의 견적서입니다
2) 이 방식은 설비 설치, 배관 공사, 케이블 포설, 구조물 시공 등 물량이 정량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2. 단가 구성 요소

1) 자재비: 케이블, 배관, 조명기구 등 직접 자재의 공급 비용
2) 노무비: 작업 인력의 인건비
3) 경비: 장비 사용료, 운반비, 안전관리비 등 부대비용
4) 각 구성 단가를 합산한 금액이 최종 단가이며, 여기에 수량을 곱해 총금액을 산출합니다

 

 

 

 


3. 예시 견적 항목

 

 


4. 해설

1) 자재비: 단가 18,000원 × 100m = 1,800,000원
2) 노무비: 단가 9,000원 × 100m = 900,000원
3) 경비: 단가 3,000원 × 100m = 300,000원
4) 총 단가: 18,000 + 9,000 + 3,000 = 30,000원
5) 총 금액: 30,000원 × 100m = 3,000,000원

 

 

 

 


5. 특징

1) 견적 내역이 항목별로 구성되어 있어 단가 산정 근거가 명확함
2) 공정별로 자재·노무·경비가 분리되어 있어 분석과 정산이 용이함
3) 물량 증감 시 기제출 단가 기준으로 정산이 가능하므로 발주처 입장에서도 예산 통제가 쉬움

 

 

 

 


6. 유의사항

1) 물량 산정은 반드시 도면, 현장 실측 등을 기반으로 작성해야 하며, 추정치만으로 견적을 제출하면 리스크가 큼
2) 자재 사양, 시공 조건, 제외 항목 등은 견적서 내 비고란에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오해를 방지해야 함
3) 물량 증감이 발생할 경우 기제출 단가를 기준으로 정산되므로, 초기에 단가를 과다 또는 과소 산정할 경우 이익 또는

    손실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
4) 따라서 최초 견적 단계에서 현장 여건, 자재 사양, 작업 난이도 등을 충분히 고려한 단가 설정이 반드시 필요함

 

 

 

 


7. 결론


- 물량 BASE 견적서는 수량과 단가에 따라 계산이 간단하고 정산이 명확한 구조입니다.

- 특히 단가가 자재비, 노무비, 경비로 구분되어 있어 발주처와 시공자 간 단가 협의 및 작업 진척에 따른 정산 근거로서도 활용도가

  높습니다.

- 단, 초기에 단가 산정이 부정확하면 물량 증감에 따라 손익이 왜곡될 수 있으므로, 실측 기반의 명확한 물량 설정과 단가 검토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Recent posts